각선도본 ()

목차
관련 정보
각선도본 표지
각선도본 표지
과학기술
문헌
전선 · 병선(兵船) · 조선(漕船) · 북조선(北漕船) 등 6장의 색채화로 구성된 도설서. 선박도.
목차
정의
전선 · 병선(兵船) · 조선(漕船) · 북조선(北漕船) 등 6장의 색채화로 구성된 도설서. 선박도.
내용

1책. 전선(戰船)·전선철상장(戰船撤上粧)·전선·병선(兵船)·조선(漕船)·북조선(北漕船) 등 여섯 장의 색채화로 되어 있다.

전선도에는 저판(底板) 위에 7편의 외판과 15편의 판재로 꾸며진 선수재[飛荷眞板]를 붙여 선체를 꾸미고, 그 위에 배를 가로지르는 보인 가목(駕木) 16개를 놓고, 패판(牌板)과 선체 상면 주변의 난간인 여장(女墻)을 세웠으며, 상갑판인 포판(鋪板)을 깔아 선상의 판옥인 상장(上粧)을 구조하였다.

상갑판 위에 다락을 꾸민 모양 등의 판옥선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돛대·닻[碇]·노(櫓)·키[䲭] 등 부속품도 잘 그려져 있고, 좌우 패판에는 용(龍), 선수 패판 양옆에는 귀신머리 등도 선명하게 그려져 있는 등, 조선 후기 전선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잘 나타내고 있다.

그림 상면에는 통영상선(統營上船)의 척도로서, 본판(本板)은 장 90자, 광 18자 4치, 원고(元高) 11자 3치, 하층신방패(下層信防牌)는 고 5자, 선두(船頭)의 광은 15자, 선미의 광은 12자 7치, 상장은 장 105자, 광 39자7치로 나타나 있다.

그리고 각읍진전선(各邑鎭戰船)의 척도로서 본판의 장 65자, 원고 8자, 중광(中廣) 15자이며, 선두의 광 12자 5치, 선미의 광 7자 5치 등으로 기록되어 있어, 당대 전선의 규모와 구조를 알아볼 수 있는 귀중한 사료이다.

이 그림은 상갑판 위에 다락이 구조되어 있으며, 가목이 16개이고, 노가 9쌍인 점으로 보아서, 3계층의 전선 중에서 통영상선과 각읍진전선의 중간에 해당하는 통영좌부선(統營座副船)을 기준으로 그려진 것 같다.

전선철상장도와 다른 전선도는 모두 상장을 제거한 선체구조의 그림으로서 가목 밑으로 “가룡목을 외판마다 끼워넣는다.”는 글이 가목에 적혀 있어, 양현 외판재를 각재 또는 자연환목(自然丸木)으로 연결하여 선체횡강도를 유지시키는 우리 나라 고선에 독특한 가룡목의 존재를 잘 나타내고 있다.

병선도는 7편으로 꾸며진 저판 위에 7편의 외판재와 6편의 선수재로 구조된 선체의 모양과 두 개의 돛대를 누이기도 했던 방식이 잘 표현되어 있고, 여백에는 병선의 치수로서 ‘본판 장 39자, 광 6자 9치, 고 8자, 두광(頭廣) 4자 5치, 미광(尾廣) 4자’ 등이 기록되어 있어 그 크기를 알아볼 수 있다. 가목은 10개, 노는 3쌍으로 되어 있다.

조선도와 북조선도는 대체로 모양이 같고 치수만 다른데, 조선은 경기 이남의 하삼도에서, 그리고 북조선은 평안도와 함경도에서 쓰여진 조운선이었다. 그 구조는 조선의 경우에 11편의 외판과 17편의 가로놓이는 선수재[飛荷橫板]로 선체가 꾸며져 있고, 가목은 세 개뿐이며 돛대는 두 개다.

그 치수는 조선이 본판 장 57자, 중광 13자, 두광 10자, 미광 7자 5치, 원고 11자, 두고(頭高) 10자, 미고(尾高) 9자 5치이고, 북조선의 본판은 장 27자 5치, 중광 17자 5치, 두광 16자, 미광 15자, 원고 10자, 두고 9자, 미고 9자 등으로 적혀 있는데, 후자는 전자보다 훨씬 작다. 이 조선은 조선시대에 있어서 적재한도가 1천석이었던 사실에 비추어 그만큼 적재할 수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전선과 조선의 여러 가지 특징을 비교하면, 선체구조에 있어서 전선은 복잡한 상장을 가지고 있고 조선에는 그것이 별로 없는 외에도, 선수판에 있어서 전선은 판을 세로로 결합한 데 대하여 조선은 판을 가로로 쓰고 있고, 가목의 수도 전선은 많고 조선은 적다.

가목 밑에는 선저에 이르기까지 가룡목을 두고 자연 칸이 막히게 마련인데, 조선은 선창을 넓히기 위하여 가목수를 되도록 줄인 것이다.

치수에 있어서도 전선은 길이가 길고 상장을 제외한 선체의 높이는 얕은데, 조선은 반대로 길이는 짧고 선체는 높게 되어 있다. 이것은 군선과 화물선 본래의 기능의 차이에서 유래한 것이다.

여기에 실린 여러 그림은 사실적이기는 하지만 치수로 보면 전반적으로 길이가 짧고 너비와 높이가 크게 그려져 있는데, 이것은 우리 나라 고선의 그림에서 공통되는 점이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조선왕조군선연구』(김재근, 서울대학교한국문화연구소, 1976)
관련 미디어 (5)
집필자
김재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