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선 ()

목차
관련 정보
각선도본/전선
각선도본/전선
과학기술
물품
다락을 설비한 조선 후기의 전선(戰船).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다락을 설비한 조선 후기의 전선(戰船).
내용

≪각선도본 各船圖本≫ 중의 전선도는 바로 이 누선을 그린 그림이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중국 사신이 내왕할 때 평양 대동강에서 뱃놀이하면서 탄 배도 누선이라 하고 있으나(中宗實錄 卷84 中宗 32년 3월 壬午, 同 4월 辛亥), 그것은 단지 차양으로 지붕을 얹어놓은 강선(江船)에 지나지 않고, ≪고려사≫에도 태조가 구사한 대형군선(高麗史 卷1, 太祖 世家)을 후세에 누선이라 하고 있으나(高麗史 兵志 2, 辛禑 14년 8월) 그것은 단지 다락[樓櫓]을 갖춘 배라는 뜻에 지나지 않는다.

조선 후기의 전선에는 통제사가 탑승하는 통영상선(統營上船), 각 도 수사(水使)·방어사 등이 탑승하는 중급 전선 및 각 읍진(邑鎭)의 일반전선 등 세 계층이 있다. 그들은 모두 상갑판 위에 사령탑으로 쓰는 다락을 설비하였는데, 이러한 식의 전선을 다락이 없는 다른 군선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누선이라고도 하였다.

전선의 전신인 판옥선(板屋船)이 처음으로 개발되었을 무렵에는 누선이 별로 없었는데, 임진왜란 이후에 전선이 점차로 커지면서 누선이 늘어나 정조 무렵에는 경상좌수영 관하에만도 10척을 헤아리게 되었다(正祖實錄 卷33 正祖 15년 11월 壬辰).

누선은 위가 무거워 복원성능이 좋지 않고 운용도 불편하여 방패선 또는 거북선 등으로 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顯宗改修實錄 卷12 顯宗 5년 11월 丁酉, 正祖實錄 卷33 正祖 15년 11월 壬辰). 중국에도 일찍부터 누선이 있었는데(武備志), 조선 후기의 누선은 그것과 아무런 관계가 없이 엄연히 구별되는 배이다.

참고문헌

『중종실록』
『현종실록』
『정조실록』
『각선도본(各船圖本)』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