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의상소등록 ()

목차
관련 정보
간의상소등록
간의상소등록
조선시대사
문헌
1932년 이왕직실록편찬회에서 조선후기 사헌부 · 사간원에서 올린 상소를 초록한 등록. 상소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32년 이왕직실록편찬회에서 조선후기 사헌부 · 사간원에서 올린 상소를 초록한 등록. 상소문.
내용

7책. 필사본. 상소는 개인적인 일로 올린 일인소(一人疏)가 대부분인데, 상소의 제목이 두주(頭註)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다.

즉, 뇌이사(雷異事)·선롱사(先壟事)·인피급징토사(引避及懲討事)·친병구호사(親病救護事)·자열사(自列事)·피인론사(被人論事)·사면사(辭勉事)·구호사(救護事)·징토사(懲討事)·팔조진면사(八條陳勉事)·징토연명합좌목(懲討聯名合座目) 등으로 제목을 붙이고 있다.

그러나 제3책 이후에는 제목이 거의 없고, 특이한 것은 상소의 끝에 편자의 간단한 평과 임금의 비답(批答)이 실려 있다. 그런데 편자의 평은 거의 정형적이고 내용의 시비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내용은 『간의등록』과 비슷하지만, 더러는 사회적·경제적인 관심에서의 이결폐사(以結弊事)·이송민사(以訟民事) 등과 같이 정치현안문제도 거론되어 있다.

각 책은 시기별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1책 1848년(헌종 14) 10월∼1850년(철종 1), 제2책 1851년, 제3책 1852∼1854년, 제4책 1855∼1859년, 제5책 1860∼1863년, 제6책 1864∼1871년, 제7책 1871∼1877년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은 당시의 역사이해에는 별 도움이 안되나, 사헌부·사간원의 인적구성과 그들의 정치적 동향, 주요관심사 등을 엿볼 수 있다.

규장각도서와 장서각도서에 각 한질이 있다. 규장각본은 편자와 필사연대가 미상이나, 장서각본은 이왕직실록편찬회(李王職實錄編纂會)에서 편찬한 것으로 1932년에 필사한 것이다.

참고문헌

『古鮮冊譜』(前間恭作, 東洋文庫, 1945)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