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자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문무산계(文武散階)에서 각 품계의 윗 자리를 차지하는 자급(資級 : 품계의 위치).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무산계(文武散階)에서 각 품계의 윗 자리를 차지하는 자급(資級 : 품계의 위치).
내용

자(資)는 계(階)와 같은 뜻이다. 종6품 이상에는 품계마다 상·하 양계가 있었는데, 그 상계가 간자에 해당한다. 이는 각 품계간에 있는 자급이며, 이를 거쳐야 상위품계로 진급된다.

종1품 숭록대부, 정2품 정헌대부, 종2품 가정대부(가의대부), 정3품 통정대부·절충장군, 종3품 중직대부·건공장군, 정4품 봉정대부·진위장군, 종4품 조산대부·정략장군, 정5품 통덕랑·과의교위, 종5품 봉직랑·현신교위, 정6품 승의랑·돈용교위, 종6품 선교랑·여절교위 등이 모두 간자이다.

참고문헌

『경국대전』
『속대전』
집필자
이영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