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평일구·혼개일구 (·)

목차
관련 정보
간평일구·혼개일구
간평일구·혼개일구
과학기술
유물
문화재
조선 후기에 제작된 해시계.
목차
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해시계.
개설

198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표면에 간평일구와 혼개일구 두 가지 시계를 새겨놓은 해시계이다. 간평일구는 가로 52.2㎝, 세로 129㎝, 두께가 12.3㎝로 윗부분에, 혼개일구는 그보다 조금 더 큰 원형으로 아랫부분에 그려져 있다.

내용

간평일구는 해시계의 문자판 지름이 43㎝ 정도이고, 아래에 있는 혼개일구의 문자판은 지름이 46㎝이다. 간평일구의 눈금은 마치 앙부일구의 오목한 내면에 그려놓은 눈금을 평면 위에 투영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혼개일구의 눈금은 중심을 옮겨가며 지름이 서로 다른 13개의 원을 그리고, 그 위에 직각으로 교차하는 시각선(時刻線)을 그려놓았다. 전체적으로 제작솜씨가 매우 정교하다.

명문에는 “한양북극출지 37도39분15초 시헌황적대거 23도29분 건륭50년을사중추립(漢陽北極出地 三十七度三十九分一十五秒 時憲黃赤大距 二十三度二十九分 乾隆五十年乙巳仲秋立)”이라 기록되어 있어 1785년(정조 9) 관상감(觀象監)에서 제작하였으며, 한양(서울)을 기준으로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현황

본래 창경궁의 명정전(明政殿) 뒤에 보관되어 있던 것을 서울특별시 홍릉의 세종대왕기념관으로 옮겨놓았으나,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서운관지(書雲觀志)』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성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