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 )

목차
관련 정보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1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1
불교
문헌
1337년 『대방광불화엄경』을 감색 종이에 은니로 필사한 불교경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337년 『대방광불화엄경』을 감색 종이에 은니로 필사한 불교경전.
내용

당나라 반야(般若)가 한역한 『화엄경』 정원본 40권이다.

이 경은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 최안도(崔安道) 부부가 부모의 이고득락(離苦得樂)과 자기 부부의 수복(壽福)을 증진하고 재앙을 없애며 내세의 극락왕생을 발원하여, 화주(化主) 교연(皎然)의 도움을 받아 사성(寫成)한 것이다.

표지는 장방형의 4주(四周) 당초문(唐草紋) 안에 보상당초문이 금은니로 묘사되어 있고, 표죽이 있는 권수(券首) 쪽에 경 이름이 제첨(題簽) 양식으로 금니로 필사되어 있다. 경 이름 밑에는 정원본임을 뜻하는 ‘정(貞)’자가 원형 안에 역시 금니로 표시되어 있다. 권31의 권수에는 사성기록(寫成記錄)이 금니의 경패형(經牌形) 속에 은니로 필사되어 있다. 이어 변상도(變相圖)가 금니로 섬세하게 묘사되어 있고, 은니로 본문이 쓰여져 있다. 권34 역시 권머리에 변상도가 금니로 묘사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사경의 격식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고, 사성의 기법이 우수하며 형태의 품위가 우아하여, 개인의 발원사경으로서는 손꼽혀지는 정작이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文化財大觀)』2 -국보(國寶) 2 -전적(典籍)(한국문화재보호협회, 1986)
집필자
박상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