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지은니 미륵삼부경 ( )

목차
관련 정보
감지은니미륵삼부경
감지은니미륵삼부경
불교
문헌
문화재
1315년 『미륵삼부경』을 감색 종이에 은니로 필사한 불교경전.
목차
정의
1315년 『미륵삼부경』을 감색 종이에 은니로 필사한 불교경전.
내용

3권 1첩. 199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미륵삼부경은 관미륵보살상생도솔천경(觀彌勒菩薩上生兜率天經, 일반적으로 彌勒上生經이라 칭함.)·미륵하생경(彌勒下生經)·불설미륵성불경(佛說彌勒成佛經) 등 미륵신앙의 3대경전이다.

그런데 여기서는 이 중 「불설미륵성불경」 대신에 「불설미륵하생성불경(佛說彌勒下生成佛經)」을 싣고 있고, 또한 역자를 모두 유송(劉宋)의 저거경성(沮渠京聲)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잘못이다. 「불설미륵성불경」 대신 「불설미륵하생성불경」을 수록한 것은 필사 당시 대본을 잘못 선택하였거나 이 경을 더 선호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즉휴(卽休)가 쓴 권말의 기록에 의하면 1315년 신인(信因)의 시주로 사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사성기(寫成記)에서 먼저 국왕이 보위를 오래 누리고 국가가 태평하고 국민의 평안함과 불법으로 모든 유·무정의 중생이 보리심을 내어 부처님의 지혜를 증득하기를 빌고, 다음으로 죽은 부모와 권속이 극락세계에 가서 아미타불을 친견하고 자신은 계속하여 좋은 일을 많이 하여 미륵불이 하생(下生)하여 법을 듣고 깨달아 중생을 이익되게 해달라고 빌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경은 한 줄에 17자씩 배열되어 있는데, 이 사경은 한 줄에 15∼16자씩 배열되어 있고, 6항(行)씩 절첩(折帖)되어 있으며 경명(經名)은 금니로 묘사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사경은 당시의 미륵신앙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일 뿐 아니라, 권말에 사성기가 있고 본문 글씨 또한 매우 정성을 들여 사성된 고려시대 은니사경이다. 호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동산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動産文化財指定調査報告書)』(박상국, 문화재관리국, 1991)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상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