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지은니 불공견삭신변진언경 권13 ( )

목차
관련 정보
감지은니불공견삭신변진언경 권13
감지은니불공견삭신변진언경 권13
불교
문헌
문화재
1275년 『공견삭신변진언경』을 감색 종이에 은니로 필사한 불교경전.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감지은니 불공견삭신변진언경 권13(紺紙銀泥 不空?索紳變眞言經 卷十三)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국보(1984년 05월 30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275년 『공견삭신변진언경』을 감색 종이에 은니로 필사한 불교경전.
내용

1984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1권(권13) 1축. 이 사경은 보리유지(菩提流志)가 한역한 『불공견삭신변진언경』 30권본 가운데 권13으로, 충렬왕이 즉위한 뒤 발원하여 은자대장도감(銀字大藏都監)에서 사성하게 한 초기의 것이다.

표지에는 보상당초문(寶相唐草紋)이 금니로 묘사되어 있고, 표죽(表竹) 옆에 경명(經名)이 제첨양식의 장방형 안에 금니로 쓰여 있다. 권두에는 금니로 검을 쥔 부동명왕(不動明王)의 신장상(神將像)이 유려한 필치로 묘사되어 있고, 본문은 은니로 되어 있다.

권말 뒷면에 ‘삼중대사안체서(三重大師安諦書)’라는 기록이 있는데, 이 안제는 일본 문화청에 소장되어 있는 『문수사리문보리경(文殊師利問菩提經)』도 필사한 승려로, 은자대장도감의 사경승 중 한 사람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사경은 현존하는 충렬왕의 발원경 중 격식을 완전하게 갖춘 최상의 것으로 보인다. 일본으로 유출되었던 것을 다시 찾아온 것이다.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文化財大觀)』2 -국보(國寶) 2 -전적(典籍)(한국문화재보호협회, 198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