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계 3·1운동 ( )

목차
근대사
사건
1919년 3·1운동 때 평안북도 강계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19년 3·1운동 때 평안북도 강계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
내용

영실중학교(英實中學校) 교사 김경하(金京河)·정준(鄭雋), 명신학교(明新學校) 회계 한봉민(韓奉珉) 등이 천도교 간부들과 영실중학교 학생들의 도움을 받아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제작한 뒤 4월 8일을 거사일로 잡았다.

이날 군중 수천명이 남장대(南將臺) 예배당의 종소리를 신호로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배포하며 만세시위운동을 전개하였다. 이 때 출동한 일본 기마헌병의 무차별사격으로 4명이 현장에서 사망하고, 많은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피검자 중 29명이 신의주감옥으로 압송되었다.

그 밖에 3월 3일 입관면(立館面)에서는 천도교인 수백명이 모여, 만세를 부르며 독립선언서를 살포하다가 헌병에 의하여 해산당하고 20여 명이 검거되었으며, 4월 16일 어뢰면(漁雷面) 풍룡리(豊龍里)에서도 수천명이 만세시위를 벌이다가, 출동한 일본 헌병대에 의하여 10여 명이 현장에서 피살되고, 20여 명이 붙잡혔다.

그 뒤 만주로부터 국내에 침투해 들어오는 독립군과 해외로 망명하는 독립운동자들이 이곳을 경유하여 압록강을 건너야 했기 때문에 강계군은 일본의 경계가 전시하의 계엄지구와 같았다.

그런 경계 속에서도 10월 24일에는 만주의 독립군이 종남면사무소(終南面事務所)를 습격하고, 헌병분견소와 압록강연안의 감시초소 20여 개소를 불태웠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 2』(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독립운동사자료집 5·6』(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197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