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반닫이 ( 닫이)

목차
공예
개념
강화지역에서 제작된 의복 · 옷감 · 제기 등을 넣어 두는 반닫이.
목차
정의
강화지역에서 제작된 의복 · 옷감 · 제기 등을 넣어 두는 반닫이.
내용

표준치수 높이 80∼100㎝, 앞 너비 90∼100㎝, 옆 너비 45∼50㎝. 과거의 왕실용 반닫이를 이곳에서 주로 제작하였던 까닭에 그 구조가 특이하고 정교하여 반닫이 가운데 가장 화려하고 비싸다.

다른 반닫이의 기본형태인 장방형보다 정사각형이 많으며 키가 높은 것이 초기 평양반닫이와 흡사하고 무쇠판에 투각장식한 것이 박천(博川)반닫이의 영향을 받은 것 같다.

앞면에 상하 개폐식 문판이 달린 의궤(衣櫃)의 기본형은 변함 없으나, 육면(六面)나무 두께가 묵직한 같은 두께로 된 것이 양품이며, 문판을 열면 안쪽 상판에 빈 공간을 이룬 선반이 부착되거나 서랍 또는 편지꽂이의 고비가 누워있는 것이 특색이다. 금속장식은 박천반닫이같이 많이 부착하지는 않았으나 그 장식적 상징의 가지수는 약 40여 종이 넘게 다양하다.

그 중에서도 눈에 띄는 것은 앞면 중앙에 호리병 모양의 경첩장식이 한 개 달린 것이 있고, 卍자형의 문양과 亞자형에 가까운 직선이 도식화된 문양으로서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 밖에 박쥐형·불로초형 귀장식 및 태극형이 있다.

그리고 일반형 반닫이의 자물쇠 뻗침대는 천판(天板)에서 ㄱ자로 꺾여 내려오는데 비해, 강화반닫이는 천판에서 바로 조선(條線)으로 내려와 상단에 물건을 넣어도 불편없이 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마대(馬臺 : 받침다리) 는 얕고 둔탁한 편이며 풍혈(風穴)장식이 유연한 곡선으로 육중한 몸체를 받쳐주고 있다.

구조(構造)가 육면의 두터운 널판으로 이루어져 그 결구도 튼튼하게 짜였는데, 천판과 바닥판재와 양편측널의 이음새는 사개물림으로 되어 있다. 재료는 주로 홰나무[槐木]·잣나무·소나무를 쓴다.

집필자
배만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