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반닫이 (반닫이)

목차
관련 정보
밀양반닫이
밀양반닫이
공예
개념
경상남도 밀양지방에서 제작된 의복 · 옷감 · 제기 등을 넣어 두는 반닫이. 경상도반닫이.
이칭
이칭
경상도반닫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밀양지방에서 제작된 의복 · 옷감 · 제기 등을 넣어 두는 반닫이. 경상도반닫이.
내용

표준치수는 높이 50∼60㎝, 앞너비 65∼80㎝, 옆너비 35∼45㎝. 통영·진주 등의 반닫이와 더불어 경상도반닫이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경상도반닫이는 높이가 넓이에 비해 얕은 편이며, 거멍쇠 장식을 적게 쓰고 그 대신 나무의 질감을 많이 나타낸다.

그 중 밀양반닫이의 특징은 마대(馬薹 : 받침다리)가 없고 족대(足臺)만 달려 있으며, 앞면에 부착되는 무쇠금구장식이 경상도반닫이로서는 비교적 많다. 문양으로는 불로초형의 약식화된 경첩이 있고, 卍자나 또는 亞자 문양의 직선형이 눈에 뜨인다.

그 중 화초문(花草文)이 많으며, 특히 국화형의 광두정(廣頭釘)이 화사하게 장식되어 있다. 그리고 박천(博川)반닫이와 같이 달형 손잡이 들쇠가 문판 양편 측널에 달렸거나 아랫널 복판에 하나 달려 있음을 보게 된다.

흔히 의궤로서 쓰이지만 안방 윗목에 놓고 이불 등을 얹어 쓰기도 한다. 재료는 소나무가 주재이며 간혹 괴목 등이 있는데, 목리(木理)가 좋은 양재를 쓰고 있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