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문좌부 ()

목차
조선시대사
물품
조선시대 도성의 폐문 시간에 긴급한 일로 성문을 열고자 할 때 사용하던 부험(符驗: 확인 표찰)의 좌편(左篇).
목차
정의
조선시대 도성의 폐문 시간에 긴급한 일로 성문을 열고자 할 때 사용하던 부험(符驗: 확인 표찰)의 좌편(左篇).
내용

1443년(세종 25) 교어부(交魚符)라는 명칭으로 처음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원형의 목제 표찰로서, 초기에는 한 면에 전자(篆字)로 ‘信符(신부)’라 쓰고 뒷면에는 압인하였으나, 후기에는 한 면에 ‘某更符驗(모경부험)’이라 쓰고 뒷면에 해당 문 이름을 새겼다.

이를 두 쪽으로 나누어 좌부는 궁중에 비치하고, 우부는 수문장들에게 교부하여 유사시 서로 맞추어보고 문을 열어주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는 반드시 선전표신(宣傳標信: 승정원에서 왕명으로 발부하는 특수표찰)과 함께 제시해야 유효하였다.

이것들은 정문(正門: 4대문)에서 사용되는 것이었으며, 간문(間門: 4소문)에는 따로 개문표신이 사용되고, 부험은 필요하지 않았다. 조선 후기에는 야간의 시간대[更]마다, 또 성문마다 사용되는 부험이 정해져 있었다. 부험은 문을 연 뒤에 곧 반납하고, 표신은 일이 끝난 뒤에 반납하게 하였다.

참고문헌

『세종실록』
『경국대전』
『증보문헌비고』
『만기요람』
집필자
이영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