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천 묵방리 고인돌 ( 고인돌)

목차
선사문화
유적
북한 평안남도 개천군 노동자구 일대에 있는 청동기시대 북방식과 남방식이 혼재된 고인돌군. 지석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평안남도 개천군 노동자구 일대에 있는 청동기시대 북방식과 남방식이 혼재된 고인돌군. 지석묘.
개설

평안남도 개천군 묵방리는 은산군과 대동강을 사이에 두고 있는 탄광마을이다. 묘향산 줄기가 남쪽으로 뻗어 내려 대동강에 이르는 대동강 제2단구면(段丘面) 들판에 분포하는데 특히 묵방리의 가치산(115.7m) 줄기 남쪽 기슭 평지에 약 40여 기를 비롯하여 돌무지무덤 30여 기, 기단식 돌무지무덤 20여 기 등 역사시대 무덤유적들이 함께 있다. 고인돌은 40여 기가 있는데 모두 지상에 무덤방[墓室]을 마련하였다. 고인돌과 함께 후대의 돌무지무덤[積石塚], 산성(山城), 가마터[窯址], 야철지(冶鐵址) 등 여러 시기의 유적이 자리한다. 또한 까치산 서쪽 기슭의 남북으로 뻗은 구릉에는 암석들이 노출되어 있는데 고인돌의 석재를 떼어낸 자국들도 확인된다.

내용

1960년 이곳 탄광지구의 철도부설공사에 따라 모두 20여 기에 이르는 고인돌이 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에 의해 발굴 정리되었다. 또한 1984년에 2차 발굴시 4기를 발굴하고 무덤구조가 잘 남아있는 2기는 원상대로 복원하여 보존하고 있다. 조사된 고인돌 중 구조가 확실한 것들은 대부분 얇은 타원형의 덮개돌 밑에 시신을 묻기 위해 돌로 쌓아 만든 장방형의 돌덧널[石築墓槨]로 이루어져 있었다.

고인돌은 무덤의 장축이 동서로 된 것은 뚜껑돌[上石]의 길이가 180∼330㎝ 내외이며, 남북으로 된 것은 뚜껑돌의 길이 300∼380㎝ 내외이다. 후자(後者)의 것은 보강시설(補强施設)이 있는 무덤으로 밖을 둘러싼 돌림돌[圍石]이 있고 막음돌[閉塞石] 시설은 전자(前者)의 것에 비해 더 견고하게 축조하는 등 서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무덤방[墓室]은 납작한 판돌[板石]을 쌓아 세 벽을 만들고 판돌을 쌓지 않은 동쪽이나 남쪽에는 큰 판돌을 세워 문처럼 만들었다. 바닥에는 벽체를 쌓은 것과 같은 크기의 판돌들을 1∼2벌 깐 것(24호)과 큰 판돌을 깐 것(20호)이 있다. 무덤방의 크기는 2호는 190×105∼103×20∼30㎝, 20호는 180×80×30㎝, 24호는 180×80×60㎝ 정도이다. 무덤방 둘레에는 막돌을 쌓아 보강 시설을 하고 그 바깥으로 네모서리와 가운데에 큰 돌을 세워 놓았다. 특히 30호 무덤방에서는 무덤방의 문 앞으로 널길[墓道]시설이 있어 주목된다. 무덤방 위에는 크고 두꺼운 판돌을 타원형으로 다듬어 올려놓았다.

출토된 유물은 묵방리형토기[墨房里型土器], 물고기모양[魚形] 반달돌칼[半月形石刀], 간돌검[磨製石劍], 간돌화살촉[磨製石鏃] 등이 있다. 토기는 흑갈색의 간토기[磨硏土器]로 젖꼭지모양손잡이[乳狀把手]가 부착되어 있다.

북한학계에서는 묵방리형고인돌로 분류하며 뚜껑식(침촌형) 고인돌로부터 변화 발전한 것으로 본다. 껴묻거리로 나온 묵방리형 질그릇은 청동기시대 늦은 시기의 것으로 고인돌의 연대를 가늠하는 기준이 된다.

참고문헌

『조선유적유물도감』 2-고조선, 부여, 진국편(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외국문종합출판사, 1989)
「묵방리 고인돌」(장호수, 『한국고고학전문사전 청동기시대 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묵방리 고인돌」(장호수, 『한국고고학사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묵방리 유적」(장호수, 『한국 지석묘(고인돌) 유적 종합조사·연구(Ⅱ)』, 문화재청·서울대학교박물관, 1999)
「묵방리 고인돌에 관한 몇가지 고찰」(리정남, 『역사과학』85-1, 1990)
「평안남도 개천군 묵방리 고인돌에 관한 몇 가지 고찰」(김기웅, 『역사과학』1985년 1호,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5)
「평안남도 개천군 묵방리 고인돌 발굴 중간보고」(이정남, 『고고학자료집』제3집, 1985)
「평안남도 개천군 묵방리 고인돌 발굴 중간보고」(김기웅, 『고고학자료집』1963년 3집, 과학원출판사, 1963)
「평안남도 개천군 묵방리 고인돌 발굴 중간보고」(김기웅, 『문화유산』1961년 2호, 과학원출판사, 196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