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월형석도(半月形石刀)’라고도 한다. 수확구(收穫具)의 일종이며 한반도 전역에 걸쳐 출토되고 있다.
주로 점판암계통의 석재를 이용해 타원형이나 반월형 등의 편편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중앙부에 한 두 개의 구멍이 뚫려 있다. 이 구멍 사이에 끈을 꿰어 끈 사이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사용하였다.
반월형석도는 형태상 어형(魚形)·주형(舟形)·즐형(櫛形)으로 분류되며 여기에 일반적으로 장방형 및 삼각형석도(三角形石刀)도 첨가된다.
장방형석도는 등과 날이 모두 곧은 형태로 날은 대부분 양인(兩刃)이다. 주로 동북지방에 집중분포하고 있으며 압록강 중·상류유역에도 상당수 발견되었다. 신석기시대 말기와 청동기시대에 다량 출토되고 있다.
즐형석도는 외만배(外彎背)에 직인(直刃)이 붙은 형식으로 대부분 양인이다. 청동기시대 전기부터 압록강 중·상류유역과 동북지방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다. 초기철기시대에 보이는 철제반월도도 대부분 이 형식이다.
어형석도는 날과 등이 모두 외만한 것으로 단인(單刃)이 많다. 신암리·용연리(龍淵里)·서포항(西浦項) 등에서 신석기 말기부터 출현해 압록강 하류에서는 청동기시대에도 계속 주류를 이룬다. 대동·재령강유역 및 중남부지방에서도 일부 출토된다.
주형석도는 등이 곧고 날이 외만한 형태로 단주형(短舟形)과 장주형(長舟形)으로 다시 구분된다. 장주형은 대동·재령강유역의 팽이형토기 유적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청동기 전기에는 길이 20㎝ 안팎에 장폭비(長幅比) 3.5:1에서 4:1 사이가 주류를 이루고, 후기에 들어가면서 장폭비가 5:1이 넘는 특대화(特大化)된 형태도 나타나며, 한편으로는 3:1에서 3.2:1 사이로 장폭비가 줄어드는 경향도 보인다.
단주형은 장주형이 장폭비가 줄어들면서 발생한 것으로 보이며, 길이 15㎝ 전후에 장폭비 2.5:1에서 3:1 사이가 많고, 주로 중부지방 이남에서 청동기시대 중기와 후기에 성행하였다.
삼각형석도는 삼각형의 양변에 날을 세운 것으로 양변의 날을 서로 반대되도록 간 엇날인 것이 특징이다. 단주형석도와 공반되는 경우가 많은데 청동기시대 중기와 후기에 서남부지방에서 성행하였다.
반월형석도는 중국의 황하 중·상류유역에서 양사오(仰韶)시기에 발생해 이후 동아시아 전역에 전파되었다. 중국에서 최초로 발생한 형태는 양측결구(兩側缺口)의 타제장방형도이며 마제의 장방유공도(長方有孔刀)는 전자보다 약간 늦은 양사오 중기부터 출현한다. 이후 장방단공(長方單孔)은 황하 중류(黃河中流)에서, 장방쌍공(長方雙孔)은 황하 하류에서 성행한다.
어형석도는 요서(遼西)의 홍산문화(紅山文化)에서 처음 출현해 이후 요동반도에서 성행하였다. 즐형 및 주형은 하남 용산문화(河南龍山文化)에서 주로 조개를 이용한 형태로 나타나 이후 특히 창강(長江)유역에서 주류를 이뤘다.
우리나라의 주형석도를 창강유역의 그것과 결부시키는 학설도 있으나, 우리나라의 주형은 요동반도의 어형에서 자체적으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반월형석도의 전파는 중국 화북농경문화의 유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처음에는 잡곡농사와 관련된 수확구로 쓰이다가 벼농사와 본격적으로 결부된 것은 단주형석도와 삼각형석도가 성행한 시기 이후부터인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