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판

목차
관련 정보
연석
연석
선사문화
유물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곡물이나 야생열매를 부수어서 가는 데 사용하던 석기.
목차
정의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곡물이나 야생열매를 부수어서 가는 데 사용하던 석기.
내용

밑에 놓인 갈판은 갈판 위에서 음식을 가는 데 사용하는 갈돌과 한 짝을 이루어 쓰인다. 갈판은 사용으로 인하여 중앙부분이 옴폭하게 패어 자른 면이 말 안장모양을 하고 있다.

이 석기의 평면은 장타원형·장방형활대[弓形] 등으로 너비 20㎝ 정도, 길이는 40㎝ 정도가 보통이다. 갈판은 사암(砂岩)이나 운모편암(雲母片岩) 등 갈리기 쉬운 석재를 이용해서 주로 만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석기시대의 이른 유적에서부터 대부분의 지역에서 갈판의 사용이 시작되다가 본격적인 농경에 접어드는 청동기시대에 들어서서 전지역으로 확산된다. 그러나 청동기시대의 후기가 되면서 점점 그 사용이 적어지다가 초기 철기시대에 이르러 완전히 소멸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갈판의 소멸은 이 시기에 새로이 등장하는 절구와 시루의 사용에 따라 그 효용가치가 사라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서는 조기신석기문화(早期新石器文化)인 화베이평원(華北平原)의 페이리강(裵李崗)과 츠산문화(磁山文化)에서 다리가 달려 있는 갈판이 출토되었다.

그러나 양사오(仰韶) 시기부터는 갈판의 사용이 소멸되기 시작하는 반면에 중국의 주변지역인 내몽고와 요령지방과 만주지역에서는 더욱더 성행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우리나라의 갈판은 중국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이 내몽고나 중국 동북지방을 통해 전해진 것으로 생각된다. → 갈돌

참고문헌

「石皿磨石石臼石杵磨臼 Ⅰ」(藤本强, 『東京大學文學部考古學硏究室硏究紀要』2, 1983)
「朝鮮石器時代のすりうす」(有光敎一, 『史林』35-4, 195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안승모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