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원 봉산리 유적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북한 함경북도 경원군 용계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토기가마터 · 민무늬토기 · 돌도끼 관련 생활유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함경북도 경원군 용계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토기가마터 · 민무늬토기 · 돌도끼 관련 생활유적.
내용

마을 근처 산기슭의 A·B·C 3개 지점에서 유적이 조사되었다. A지점에서는 토기가마터[窯址]가 발견되었는데 길이 2m, 너비 80㎝, 높이 15㎝로 진흙을 단단히 다져 원토층을 2, 3㎝ 파고 남북으로 길게 설치한 것이다.

주위에서 돌끌이 들어 있는 민무늬토기와 돌도끼·반달칼·돌낫·곰배괭이·숫돌·마치 등이 출토되었다. 토기는 아가리가 안으로 굽은[內反] 납작바닥의 민무늬토기단지와, 표면을 붉게 칠하고 마연(磨硏)한 굽다리접시[高杯]의 두 종류가 있는데, 전자에는 덧무늬가 붙여지거나 혹모양 손잡이가 달린 것도 있다.

B지점에서는 길이 4m 규모의 파괴된 움집이 발견되었다. 토기조각은 A지점과 같은 성질의 민무늬토기이고, 석기는 돌살촉·돌끌·돌칼·마치·도끼와 흑요석기 등이 있다. C지점도 유적이 대부분 파괴되어 성격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돌널무덤이나 돌무지무덤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뼈와 함께 바퀴날도끼·톱니날도끼·창끝·찔개살 등의 석기가 출토되었다. 이 유적의 연대는 A지점에서 출토되는 토기가 무산 호곡동유적 3, 4기의 토기와 유사한 점이 많아 대체로 청동기시대 중기 이후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최근 함경북도에서 새로 발견된 유적과 유물」(전수복, 『문화유산』, 과학원출판사, 1960)
집필자
안승모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