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성농요 ()

목차
관련 정보
결성농요
결성농요
국악
작품
문화재
홍성군 결성면의 성남리와 금곡리에 전승하는 농요.
목차
정의
홍성군 결성면의 성남리와 금곡리에 전승하는 농요.
내용

홍성군 결성면의 성남리와 금곡리에 전승하는 농요. 1996년 충청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결성농요는 모심는 소리(겹상사)·건젱이·가래질·아시논맴·지대기소리·만물소리·장원질소리로 구성된다.

① 겹상사는 모심는 상사류의 결성형으로서 출처지가 결성지방이다. 받음구는 “어러얼 러얼럴 상사리, 어러얼 러얼럴 상사리, 헤 헤 헤헤여루 상사리여”이고, 민요권은 서부 홍성군과 보령군 천북면·서산시 해미면·예산군 삽교읍에 이른다.

모를 심고 15일 정도 지나서 논 물을 빼고 잡풀을 손으로 건져 내면서 부르는 ② 건젱이소리(밀가는 소리)는 드문 노래인데, 받음구는 “어기야하”다. ③ 흙가래질 소리의 받음구는 “어나항 처-헌 가래허”이다. 호미로 아시맬 때는 ④ 얼카덩어리(“얼카 더엉어리”. 잦은소리에서는 “얼카뎅이”)를 부른다.

얼카덩어리류는 서북부 충남이 본고장인 논맴소리인데, 충남 일대뿐만 아니라 남부 경기도에까지 전파되어 있다.⑤ 지대기소리는 일하고 나서 쉴 참에 상여놀이를 하면서 부르던 소리이다. 받음구는 “에 헤 헤헤 헤이야, 어허라 넘어간다”이다. 손으로 ⑥ 만물매기를 할 때는 산여-좋다-두레-좋다-마루-좋다로 노래한 다음, 에염을 싼다.

‘산여’곡(曲)을 A, ‘좋다’곡을 B라 할 때, 본래는 AB+두레BAB+마루BAB+문성이BAB로 연결되는 것이나, 공연시간 등을 고려하여 산여B+두레B+마루B+에염싸는 소리로 조정하고 문성이는 생략하였다.

‘좋다’곡은 독창하며, 두레·마루·문성이는 볼두렝이소리(여럿이 입을 모아 힘께 부름)로 하고, ‘산여’곡은 독창·제창 또는 선입 후 제창(한 사람이 첫마디를 소리 내어 주면 이어서 다함께 부름)한다. 에염싸는 소리의 받음구는 긴 입타령인 “이-헤-, 헤헤에, 헤에이여”이다. ‘좋다’곡(B)의 노랫말은 “좋다-, 얼씨구 절씨구+C+에헤”로 엮어지는데, C는 변화구이다.

⑦ 장원질소리는 논매기를 끝내고 귀가길에 꽃나부(무동)를 세우고 흥에 겨워 춤추며 걸어갈 때 불리는 것으로, 받음구는 “에기여라 종게좋소”이다. 그 밖에, 서부 충남의 특색있는 벼바숨소리도 전한다.

결성농요는 가창자들과 동네 유지들의 노력으로 1991년도에 재현되었고, 1993년도엔 제34회 전국민속경연대회에 출품하여 종합 최우수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1996년에 충청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지정 당시에 예능보유자로 최양섭(崔陽燮)과 최광순(崔光順)이 인정되었다.

참고문헌

『홍성의 노동요』(이소라, 홍성문화원, 199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소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