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교 ()

목차
개신교
개념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불일치를 주장한 네스토리우스가 창시해 635년 당나라 장안(長安)에 도착한 선교사들을 통해 동양에 알려진 종교. 네스토리우스교(Nestorianism).
목차
정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불일치를 주장한 네스토리우스가 창시해 635년 당나라 장안(長安)에 도착한 선교사들을 통해 동양에 알려진 종교. 네스토리우스교(Nestorianism).
내용

635년 여러 명의 선교사들이 페르시아로부터 당나라의 장안(長安)에 도착하였는데, 중국인들은 그들의 신앙 및 사상을 경교라고 불렀다.

로마제국의 콘스탄티노플 교회 감독이었던 네스토리우스(Nestorius, 381∼451)는 그리스도의 이인격설(二人格說)을 주장했다는 비난과 함께 마리아 신모설(神母說)을 반대하였다는 이유로, 교권파인 시릴(Cyril) 일파에게 몰려 431년 에베소회의에서 정죄되어 이집트에서 유배생활중 사망하였다.

그러나 그의 설을 신봉하던 사람들은 페르시아로 망명하여 신앙생활을 개척하였다. 교세가 확장되자 페르시아의 토착종교인 조로아스터교와의 갈등이 불가피하게 되었고, 얼마 후에 이슬람교의 박해가 시작되자 네스토리우스교인들은 인도 및 중앙아시아 일대로 옮겨가게 되었다.

당시 중국은 당나라 태종(太宗) 때였으므로 각 지역의 문화와 종교가 모두 포용될 수 있었고, 네스토리우스교도 경교로서 수용되어 폭넓게 전파되었다. 경교가 중국에 전래된 635년은 신라의 선덕여왕 2년, 고구려의 영류왕 18년, 백제의 무왕 36년에 해당하며, 경교의 중국 전파에 관한 가장 중요한 자료인 대진경교유행중국비(大秦景敎流行中國碑)가 세워진 781년은 통일신라의 선덕왕 2년에 해당된다.

당시 당나라와 삼국, 특히 통일신라와 밀접한 관계에 비추어볼 때, 당나라 조정의 환영을 받으며 불교에 못지 않은 지위를 수 세기 동안 누렸던 경교가 우리 나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일본 문헌인 『속일본기(續日本記)』 성무천황기(聖武天皇紀)에 의하면, 736년 당나라 사람 황보(皇甫)가 페르시아인(波斯人) 이밀예(李密翳)[밀리스(Millis)]를 동반하여 천황을 만났다는 기록이 있는데, 종교학계에서 이밀예(밀리스)를 경교 선교사로 보는 시각이 있다. 남만주에서도 1928년에 경교도의 분묘와 7개의 와제(瓦製) 경교 십자가, 그리고 동방박사의 아기예수 경배도가 조각된 바위 등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이 일본과 만주지역에서의 경교의 영향력은 한반도에서도 입증되었는데, 1956년 경주에서 출토된 신라시대의 유물 중 석제 십자가, 동제 십자가와 더불어 마리아관음상 등이 발견되어 경교적인 흔적을 확연히 보여주었다. 이러한 유물들은 통일신라시대의 경교전래를 알려주는 좋은 자료가 되는데, 현재 숭실대학교 기독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또한 기독교동점사(基督敎東漸史)의 권위자인 고든(Gordon,E.A.)이 우리 나라의 경교전래를 밝히기 위한 연구기념으로 1917년 금강산 장안사 부근에 대진경교유행중국비의 모조비를 세웠는데, 흑대리석이 아니고 백대리석인 점에서 원래의 비와 다를 뿐이다. 이것을 목사 김양선(金良善)이 탁본하여 숭실대학교 기독교박물관에 소장해 놓았다.

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경교의 구실 때문에 기독교의 한국 전래는 통일신라시대로 소급해서 파악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게 되었다.

참고문헌

『동방기독교사』(김광수, 기독교문사, 1971)
『아시아기독교확장사』(김광수, 기독교문사, 1973)
『한국기독교사』-한국경교사편-(오윤태, 혜선문화사, 1973)
『한국기독교전래사』(김광수, 기독교문사, 1974)
집필자
김광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