첩(帖) 형태의 채색필사본으로 총 40장이다. 각각의 지도는 첩으로 분책된 형태이고 첩을 펼쳤을 때 지도의 크기는 작게는 63.9×59.8㎝에서 크게는 142.1×98.4㎝로 일정하지 않으나 첩장(帖粧)의 크기는 35.0×25.0㎝로 동일하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소장 상태는 수리된 이후의 모습으로, 지도와 첩의 표지가 따로 분리되어 펼쳐진 상태로 배접되어 있다.
경기도지도는 1872년에 전국 군현지도집 편찬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 『1872년 군현지도』 중 경기도 부분에 해당한다. 이 지도들은 군현지도 38장과 영종(永宗), 대부(大阜) 등 2곳의 진지도(鎭地圖)를 합하여 4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화부전도」는 족자형태로 되어 있으며, 「음죽현지도」의 표지에는 ‘동치(同治) 11년 3월’이라는 기록이 있어 경기도지도의 제작시기가 1872년 3월 전후임을 알 수 있다.
경기도지도는 각 군현에서 자체적으로 완성되었기 때문에 지도마다 표현 양식이 일정하지 않다. 다른 도의 지도와 비교하면 산과 물길을 제외하고는 지역에 대한 정보가 그림이나 도형보다는 주로 글로 설명된 지도가 많다. 지도의 내용은 산과 하천, 도로를 중심으로 읍치(邑治), 면(面), 리(里), 동(洞), 산성, 치(峙), 진(津), 포(浦), 역(驛), 봉수(烽燧)와 함께 창(倉), 장시(場市), 주막, 점(店), 사찰(寺刹), 탑, 제당(祭堂), 못[池]까지 상세하게 기록되어 지역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지금까지 1872년에 작성된 경기도지도의 제작 경위를 알 수 있는 사료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1871년 ‘읍지등상지령(邑誌謄上之令)’(『가평읍지(加平邑誌)』 서문)에 따라 각 읍에서 작성한 『경기읍지(京畿邑誌)』와의 비교를 통해서 그 관련성을 살펴볼 수 있다. 경기도지도는 1871년 『경기읍지』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수록된 읍지도를 바탕으로 1872년에 경기도지도를 제작하였다. 지면이 확대되었으나 대부분 1871년 『경기읍지』에 수록된 지도와 구도, 묘사 방식이 유사하다.
경기도지도는 이전에 제작된 관찬지도와 비교하여 통일성은 결여되었지만 당시 지방사회의 실정을 여과 없이 보여주는 사료로서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