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건청궁 ( )

목차
관련 정보
명성황후 조난지 / 표석
명성황후 조난지 / 표석
근대사
유적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에 있는 조선후기 왕과 왕비의 거처 및 외교관 접대 장소로 이용된 궁궐건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에 있는 조선후기 왕과 왕비의 거처 및 외교관 접대 장소로 이용된 궁궐건물.
내용

경복궁 중건이 끝난 지 한 해 뒤인 1873년(고종 10)에 궁궐 안에서도 가장 깊숙한 자리에 창건되었다. 고종은 정부 대신들에게 알리지 않은 채 비밀리에 내탕금으로 건청궁을 짓다 공사 도중 문제가 되어 중지할 것을 요청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공사가 강행되어 여러 건물이 지어졌으며, 그 뒤 국왕과 왕비의 거처로 이용되거나 외교관 접대의 장소로 활용되었다.

1895년(고종 32) 을미사변 때 건청궁 곤녕합(坤寧閤)에서 명성황후가 일본인들에게 시해되어 한국 근세사의 비극을 상징하는 장소가 되었다. 일본인들이 경복궁 안에 있던 수많은 건물을 파괴되기 시작한 1909년에 건청궁도 함께 헐렸다. 광복 후인 1945년 11월 이 자리에는 국립민속박물관이 세워졌고, 그 동쪽에 3단으로 기단을 쌓아 ‘明成皇后遭難之地(명성왕후조난지지)’라고 새긴 표석을 세워 놓았다.

건청궁 창건 당시의 원형은 「북궐도형(北闕圖型)」과 『궁궐지(宮闕志)』 등을 통해 전체의 구성, 규모 등은 알 수 있으며 2007년 건청궁의 복원이 이루어져 건청궁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건물 전체의 배치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장안당(長安堂)·곤녕합·복수당(福綏堂)으로 이루어진 구역이 162.5칸, 장안당 서쪽에 있는 각감청(閣監廳) 60칸, 남쪽에 있는 연못과 그 가운데에 만들어진 섬과 향원정(香遠亭), 섬과 건청궁을 잇는 취향교(醉香橋)로 이루어진 궁궐 안 후원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건청궁은 근세사의 중요한 두 사건인 명성황후 시해와 최초로 전기 설비를 하였던 역사적 장소일 뿐 아니라 건축사적 측면에서도 주목해야 할 건물이다. 중국에서도 명나라 때 자금성(紫禁城)에 건청궁·교태전·곤녕궁 등을 세웠는데, 남북 방향으로 일직선 위에 늘어놓는 형식을 택하고 있어, 우리의 것과 이름만 같을 뿐 배치 형식은 전혀 다르다.

경복궁 안에 지은 건청궁의 배치 형식은 조선시대 상류 주택의 공간 구성과 거의 비슷하다는 점에서 창덕궁 후원에 있는 연경당(演慶堂)과 비교, 고찰해 볼 가치가 충분하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궁궐지(宮闕志)』
「북궐도형(北闕圖型)」
『서울육백년사』3(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7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