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면 5칸, 측면 2칸의 다포계 단층 겹처마 맞배지붕건물. 1985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장대석 1벌을 놓아 기단(基壇)을 만들고, 그 위에 화강석 주초를 놓아 기초를 형성하였다. 기둥은 앞뒷면에는 원기둥, 측면에는 각기둥을 세웠다.
벽체와 창호의 구성을 보면, 정면 5칸 모두 칸마다 2짝 빗살문을 달았을 뿐 측면과 배면에는 창호를 전혀 두지 않고 벽체로 처리하였으므로 내부는 몹시 어둡다. 측면의 박공벽에는 널판을 창방(昌枋) 위치까지 늘어뜨렸으며, 창방 이하의 벽체는 중방과 가운데 기둥에 의하여 4개로 분절되어 있다.
배면의 벽체도 모두 칸마다 중방에 의하여 둘로 분절되어 있는데, 벽면에는 모두 회칠을 하여 간결하고 짜임새있는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건물의 외부는 단청이 모두 벗겨져서 단아한 느낌을 주는 반면 내부에는 상벽과 포벽을 제외한 모든 가구 부재에 화사하고 세밀한 문양의 단청이 베풀어져 있다. 다만 최근에 보수한 듯한 서까래가 쉽게 눈에 띈다.
공포는 안팎 이출목으로 앞뒤 면의 평방 위에 간포 1구씩이 설치되었으며, 측면에는 평방도 없고 공포도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조선 후기에 일반화된 다포맞배집 형식을 잘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첨차의 형태는 정면에서 2가앙(二假昻) 위에 용두형(龍頭形)을 얹은 경우와 삼분두형을 얹은 경우가 함께 쓰였는데, 이 가운데 후자는 조선 중기의 양식을 따른 것이어서 기림사의 목조건물 가운데 가장 오랜 양식에 해당된다.
내부에는 고주(高柱)를 세우지 않았으며, 불단을 설치한 부분 이외의 바닥은 모두 예불공간으로 쓸 수 있도록 우물마루를 깔았다.
불단은 얇고 평평한 하대 위에 칸마다 안상 무늬를 그려넣은 2단의 중대를 세우고 얕은 상대 갑판을 놓은 다음 갑판 위에 계단식으로 단을 내고 맨 아랫단에는 석가삼존상과 16나한상을, 나머지 단에는 오백나한상을 배치하였다.
내부 공포의 첨차는 주심포에서는 이출목까지 교두형첨차로 만들고 그 위에 삼분두형을 짜 얹은 조선중기적 양식으로, 공간포에서는 일출목 첨차만 교두형으로 하고 이출목 첨차와 그 위 한대는 연봉당초(蓮峰唐草)를 조각한 조선 후기적 양식으로 처리되어 있다.
가구는 5량가인데 앞뒷면 주심첨차 위에는 대들보를 걸치고 대들보와 마루보 위에는 파련과 공포를 합친 복합적인 대공을 놓고, 마루보 위에는 오각형 대공을 놓아 종도리를 받쳤다.
또 포작(包作) 위 뜬창방과 빗반자 사이에 세워진 상벽에는 직사각형 화반(花盤)을 배치하였다. 천장은 2단 빗반자로 마감하였다. 상부 가구에서 보이는 위와 같은 특징들은 조선 전기의 다포 맞배집이 주심포계의 특징을 공유하던 것과 일맥상통하는 것이어서 크게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