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

불교
인물
일제강점기 때, 동래에서 범어사 주지, 임시정부 고문 등을 역임한 승려.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때, 동래에서 범어사 주지, 임시정부 고문 등을 역임한 승려.
생애 및 활동사항

성은 김(金). 동래범어사(梵魚寺) 주지를 5회 역임하였다. 1910년 원종(圓宗)의 종정 이회광(李晦光)이 일본 조동종(曹洞宗)과 연합 조약을 체결하자, 1911년 박한영(朴漢永), 오성월(吳惺月), 진진응(陳震應), 한용운(韓龍雲) 등이 그에 대항하는 임제종(臨濟宗) 건립 운동을 일으켰다. 처음에 임시종무원을 송광사(松廣寺)에 두었다가 범어사로 옮겼는데 이에 관여하여 활동하였다.

특히 1919년 무렵 중국 상해의 임시정부가 경제적으로 몹시 어렵다는 소식을 듣고 밀의한 끝에 상당한 금액을 사재(寺財)에서 출연하여 임시정부에 헌납하게 하였다. 이에 따라 임시정부는 그와 담해·성월 등을 고문으로 추대하였다.

1923년 천도교에서 설립한 보성고등보통학교가 경영난에 봉착하자, 당시 총무원의 주축을 이루고 있던 통도사(通度寺)천보(天輔), 송광사(松廣寺) 찬의(贊儀), 고운사(孤雲寺)만우(萬愚), 석왕사(釋王寺)하응(河應) 등 본산 주지와 20개 사찰의 대표들이 합심하여 이 학교를 인수하게 하였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