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은 ()

목차
불교
인물
해방 이후 팔만대장경 번역위원회 위원, 동국역경원 역경위원 등을 역임한 승려. 포교사.
이칭
소하(素荷)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9년(고종 36)
사망 연도
1989년
출생지
경기도 강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해방 이후 팔만대장경 번역위원회 위원, 동국역경원 역경위원 등을 역임한 승려. 포교사.
내용

호는 소하(素荷), 속성은 김(金). 인천광역시 강화 출생. 1905년 강원도 철원군 심원사(深源寺) 계암(桂庵)에게 출가하였고, 청호 학밀(晴湖 學密)에게 사미계를 받았으며, 1919년 금강산 유점사(楡岾寺)에서 동선 정의(東宣 淨義)에게 구족계를 받았다.

1918년 법주사(法住寺) 강원 대교과를 졸업하였고, 이해 일본으로 유학하여 도요대학(東洋大學)에서 인도철학, 니혼대학에서 종교학, 동경국제대학에서 사학 등 신학문을 공부하였다. 1928년 귀국 후 조선불교교무원 초대 중앙포교사로 취임하여 우리나라 대중포교의 기초를 다지는 데 진력하는 한편, 1930년 중앙불교전문학교 교수를 지냈다.

승무와 범패에도 능하여 1935년에는 소인성극단(素人聖劇團)을 조직, 전국을 돌며 순회공연을 한 바 있다. 1938년 만주 봉천시 관음사(觀音寺)의 주지로 취임하였으며, 교포부락을 돌며 포교 활동을 벌였다.

1945년 귀국하여 전라북도 전주정혜사(定慧寺) · 충청남도 서산개심사(開心寺) · 경기도 용인화운사(華雲寺) 등에서 강석을 열어 학인들에게 교학을 널리폈다. 『불교시보』를 창간하여 주간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1961년에 팔만대장경 번역위원회에 참여하였다.

1965년에는 동국역경원의 역경위원으로 대장경 한글화에 앞장섰다. 출가한 이래 오로지 대중교화와 교육에 헌신하였다. 서울 상도동 사자암(獅子庵)에서 나이 91세, 법랍 84년으로 입적하였다. 저서로는 『신앙의 등불』 · 『피안의 메아리』 · 『관음경 강화』 · 『삼세인과』 등이 있다.

참고문헌

『불교신문』(1989.4.1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