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원개시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조선이 청나라와 통상하던 국제시장.
이칭
이칭
북관개시(北關開市), 병설개시(竝設開市), 쌍시(雙市)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조선이 청나라와 통상하던 국제시장.
내용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의 요청으로 조선에서는 북쪽 여러 곳에 시장을 두고 통상을 계속하였으나, 경원에서 정식으로 시장을 개설한 것은 1645년(인조 23) 암구뢰달호호(巖丘賴達湖戶)의 사람들이 농기구를 무역해가면서부터였다.

『통문관지(通文館志)』에 의하면 격년제로 하여 을(乙)·정(丁)·기(己)·신(辛)·계(癸)의 해에 회령·경원의 두 곳에서 병설개시(竝設開市)되었으므로 쌍시(雙市)라고도 하였다.

이때는 소록피(小鹿皮)를 가지고 와서 소·보습·솥 등과 교환하였으며, 그 비율은 보습 1개에 소록피 2장, 솥 1개에 소록피 1장이었다. 조선으로부터의 수출품은 생활필수품과 중요한 생산수단인 소를 공급하는 것이었고, 수입하는 것은 청포·녹비 등이었다.

이처럼 정해진 수량에 한하여 무역을 허락하는 대신 사무역은 일체 엄금하였던 것이나, 점차로 민간상인에 의한 밀무역이 성행하게 되었다.

개항을 전후해서 양국의 무역품을 보면 청나라측에서는 조화(造花)·피혁·담뱃대··녹각(鹿角)·동(銅)·수석(燧石)·개·고양이 등이었고, 조선측에서는 소·말·돼지·쌀·종이·연(筵)·농(籠)·주방구·호피·해삼·모발·재목 등이었다. 경원개시는 회령개시(會寧開市)와 함께 북관개시(北關開市)라 하였다.

참고문헌

『통문관지(通文館志)』
『동문휘고(同文彙考)』
「조선후기대청무역(朝鮮後期對淸貿易)의 전개과정(展開過程)」(유승주, 『백산학보(白山學報)』8, 1970)
「부연사행(赴燕使行)의 경제적일고(經濟的一考)」(이원순, 『역사교육(歷史敎育)』7, 1963)
「會寧開市に就つい」(鶴見立吉, 『朝鮮史學』4·5, 192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