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헌유고 ()

경헌유고
경헌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강복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강복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4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서문과 발문은 없으나 맨 끝에 1894년(고종 31) 강복선의 족형인 강건선(姜健善)이 지은 행장이 있어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서지적 사항

6권 3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권1∼3에 시 103수, 서(書) 104편, 권4∼6에 서(序) 4편, 기(記) 14편, 발 2편, 잠 3편, 명 7편, 계(誡) 6편, 설(說) 16편, 논(論) 4편, 잡저 22편, 제문 3편, 고문 2편, 애사 5편, 사실(事實) 1편, 부록으로 행장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청아하며 고답적이다. 「등하추사(燈下秋思)」·「쇠류한아(衰柳寒鴉)」·「황엽충서(黃葉蟲書)」 등은 독특한 사물에 대조적인 사물을 도입하여 그 상황을 조화시켜 읊은 것으로 매우 뛰어난 작품이다. 「제석음(除夕吟)」은 한 해를 보내고 자신을 반성하며 또 새해를 맞아 할 일을 생각해보는 인간의 심정을 잘 묘사하고 있다.

서는 일상적인 것보다 학문에 대한 것이 많다. 「상확재홍선생(上確齋洪先生)」·「상중암김선생(上重菴金先生)」·「상성재유선생(上省齋柳先生)」·「여정석화장(與鄭石華丈)」 등은 당시의 명유들과 여러 차례 서신을 주고받으면서 사서(四書)·상례(喪禮)·심성(心性)·이기(理氣) 등에 관해 구체적인 의견을 나눈 것으로, 저자의 학문적 깊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기 가운데 「모퇴정기(慕退亭記)」는 이황(李滉)의 학문을 흠모한 저자의 둘째형이 모퇴정을 지은 경위를 밝힌 것으로, 이황의 학문을 칭찬하면서 이황과 이이(李珥)와 송시열(宋時烈)의 학문은 동일한 것이라고 하였다.

설 가운데 「징분질욕설(懲忿窒慾說)」은 분과 욕은 정반대가 되어 일어나는 현상으로서 분은 위로 올라가고 욕은 아래로 내려가서 그 나타나는 방향이 다르다고 설명하고, 따라서 분을 막지 못하고 욕을 제어하지 못하면 사람이 아니므로 욕을 막고 분을 제어해야만 학업의 반이 성취된다고 하였다. 「심형이상하설(心形而上下說)」은 마음이 형이상과 형이하 어디에 속하느냐는 물음에 대해 논변한 것이다. 그는 이치로 따지면 형이상이 되고 기로 말하면 형이하가 된다고 설명하면서, 마음은 기가 되고 이도 되어 그 사이가 없다고 말하고, 정확하게는 구분할 수 없는 것이라고 하였다.

「태극도설(太極圖說)」에서는 주희(朱熹)와 육구연(陸九淵)이 말한 태극설의 시비에 대해 둘 다 일리가 있다고 한 이익(李瀷)의 설을 잘못된 것이라 비평하고, 정확한 분석 없이 주자의 논지를 훼손시켰다고 주장하였다. 그밖에 행사·사부모·태극·성리 등 다방면에 걸쳐서 단편적으로 논한 「잡지(雜識)」가 있으며, 지진에 대해 설명한 「지진(地震)」도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