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당집 ()

목차
관련 정보
최흥립의 계당유고 중 권수면
최흥립의 계당유고 중 권수면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의 문인, 유주목의 시 · 서(書) · 서(序)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유주목의 시 · 서(書) · 서(序)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16권 8책. 석인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연도가 확실하지 않다. 전주대학교 도서관과 현곡서원(玄谷書院) 등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권1에 시 111수, 권2에 소(疏) 3편, 권3∼7에 서(書) 280편, 권8에 서(序) 33편, 권9에 기 18편, 발 11편, 권10에 제발 23편, 설 5편, 명 5편, 자사(字辭) 1편, 전(傳) 1편, 권11에 잡저 44편, 애사 4편, 권12에 제문 19편, 비명 4편, 권13에 묘갈명 21편, 권14에 묘지명 7편, 묘표 2편, 묘갈음기(墓碣陰記) 4편, 권15·16에 행장 28편이 실려 있다.

소 가운데 「의상육조소(擬上六條疏)」는 아버지가 1872년(고종 9) 판중추부사로 치사(致仕)한 뒤에 아버지를 대신하여 올린 것이다. 당시 조정의 문란한 정치기강과 열강의 진출에 대비하는 방책을 근성학(勤聖學)·엄사금(嚴邪禁)·득현재(得賢才)·수무비(修武備)·청사로(淸仕路)·정민지(定民志) 등 여섯 조목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그리고 사교를 배척하고 파벌을 없애며 국방을 엄하게 할 것을 요구하였다. 아버지의 뜻을 받들어 지은 것이지만 평소 지니고 있던 정론(政論)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잡저 중 「계당강회절목(溪堂講會節目)」에서는 17조목으로 교육목표와 강학활동의 절차 및 행동규범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제문(祭問)」에서는 제례에 대하여 『가례』·『남계예설(南溪禮說)』·『사계예설(沙溪禮說)』 등에서 논의되지 않았으나, 실제로 행사하는 데는 없어서 안 될 사항들을 가려서, 자기의견을 첨가하여 문답형식으로 설명하였다.

그밖에 이준(李埈)의 공로와 학행을 열거하여 시호를 내려줄 것을 청한 「창석이선생청증시소(倉石李先生淸贈諡疏)」와 박세채(朴世采)의 문집을 간행하게 된 경위를 설명한 「남계집서(南溪集序)」가 있다. 그리고 임진왜란 때에 의병을 일으켜 국가수호에 공헌한 김각(金覺)의 사실을 칭찬한 「석천김선생창의사실발(石川金先生倡義事實跋)」과 효자 강천(姜天)의 효행을 기록한 「서강효자사(書姜孝子事)」가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