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는 푸닥거리나 제사를 뜻하는 말로 불계(祓禊)라고도 하는데, 불은 재앙이나 악귀를 쫓아 깨끗하고 맑게 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계욕은 불탁(祓濯)이라고도 한다.
『삼국유사』의 「가락국기」에는 3월상사(三月上巳 : 3월 들어 첫 뱀날) 계욕의 날에 신맞이굿을 벌였다고 하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계욕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이것을 보면 삼월삼짇날 산속의 맑은 물에 몸을 깨끗이 씻어 신맞이에 대비하는 것이 곧 계욕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고려와 조선시대에 걸쳐 이른봄에 하는 산놀이인 답청(踏靑)과 함께 치르던 욕기(浴沂)라는 것도 계욕과 같은 뜻의 행사였으며, 지금까지 전해지는 유두(流頭)행사도 물에 의한 정화에 목적을 두는 습속이다.
계욕은 부정을 쫓는 행사이기 때문에 육신만을 정화하는 것이 아니며, 정신까지도 맑고 깨끗하게 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오늘날의 별신굿이나 도당굿 등의 동제(洞祭)라든가 가제(家祭)에서 제의를 주관하는 당주(堂主, 또는 祭主)ㆍ화주(化主, 또는 都家)ㆍ무당, 그리고 가장(家長)과 주부 등이 제의를 치를 때까지 목욕재계로써 청정을 유지하는 습속도 계욕의 전통과 맥을 같이한다.
또한, 마을 주변과 당집 둘레에 금줄을 치고 제주의 집과 제수마련으로 쓰일 우물 주변에 황토를 깔아 이방인과 일반인의 범접을 막는 것이라든가, 마을사람들의 출타를 삼가도록 하는 일 등 여러 가지 금기로써 부정을 막으려고 하는 습속도 제의가 벌어질 공간과 시간, 그리고 제의에 동원될 물건과 인물을 청정하고 거룩하게 관리함으로써 영신(迎神)의 차비를 차리는 종교적 행사로서 계욕과 연관을 맺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