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주자 ()

목차
관련 정보
청주 흥덕사지
청주 흥덕사지
출판
유물
고려시대에 주조된 금속활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에 주조된 금속활자.
내용

고려주자인쇄의 기원은 초기의 기록 또는 실물이 전해지지 않아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현재까지 발표된 기원설에는 11세기설, 1102년설, 12세기 중엽설이 있다.

11세기설은 김부식(金富軾)이 지은 〈영통사대각국사비명 靈通寺大覺國師碑銘〉에 있는 ‘연참(鉛槧)’을 연판(鉛版)·연활자판·금속활자판의 차례로 임의적인 해석을 하고, 교장본(敎藏本)을 모두 그 인본으로 본 것이다.

그러나 ‘연참’은 이익(李瀷)의 《성호사설 星湖僿說》에 “문장을 바로잡아 개판(開板) 또는 판각(板刻)하는 것”이라는 뜻으로 풀이되어 있고, 교장본도 전래되고 있는 것이 모두 목판본이므로 옳지 않은 주장이라 하겠다.

1102년설은 ‘고주법(鼓鑄法)’으로 동철을 녹여 엽전을 주조하여 재신(宰臣), 문·무 양반, 군인들에게 나누어 내려준 바 있었는데, 여기서 고주법을 바로 금속활자의 주조술로 간주한 데서 빚어진 착각이다. 그 착각은 ‘고(鼓)’의 글자를 ‘북 고’로 알고 주물틀인 거푸집을 바로 북모양으로 만들어 주물을 부어내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 고주법은 일찍이 한(漢)나라 때부터 행하여진 것으로 여순(如淳)이 주해하기를 “동철을 녹이기 위하여 불을 붙여 벌겋게 일으키는 것”이라 하였다. 이를 자전(字典)에서는 좀 더 자세히 설명하여 “불을 붙여 일으킨 도가니에 풀무질하여 쇠붙이를 녹이는 것”이라 하였다.

이와 같이 고주법은 풀무질로 불을 벌겋게 일으켜 도가니에서 동철을 녹이는 것을 뜻하는 것이지, 거푸집에서 주물을 부어내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 아니다.

이런 ‘고주법’은 우리 나라에서도 일찍부터 적용해 왔다. 그런데 옛적의 금속활자 인쇄는 동철을 잘 녹여 활자를 부어내는 주조술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부어낸 활자를 판에 고착시키는 점착성물질(粘着性物質)과 쇠붙이 활자에 잘 묻는 기름먹을 아울러 개발하여야 하는 등, 이들 세 가지 요소가 반드시 갖추어져야 비로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12세기 중엽설은 조선 전기의 지방활자본으로 추정되는 《고문진보대전 古文眞寶大全》에 찍힌 소장인의 하나를 ‘이영보장(李寗寶藏)’으로 잘못 읽고, 이영이 1124년(인종 2) 사신으로 송나라에 들어가 휘종(徽宗)에게 〈예성강도 禮成江圖〉를 바친 인물이었다고 논증한 데서 빚어진 착각이다. 이와 같이 이 경우도 그 논증이 무리하게 시도된 것임이 확인되었다.

고려주자의 인쇄사례는 13세기 전기의 인출로 여겨지는 주자본 《남명천화상송증도가 南明泉和尙頌證道歌》를 강화로 천도한 1239년(고종 26)에 무인정부의 제1인자인 최이(崔怡)가 그대로 거듭 새기게 한 책 2종이 전래되면서 알려졌다.

그 책을 보면 비록 번각(翻刻:한 번 새긴 책판을 본보기로 삼아 다시 새기는 것)이지만 중앙관서가 정각(精刻)하였기 때문에 그 바탕의 주자본을 통하여 13세기 전기에 실시한 중앙관서의 주자인쇄술을 그런대로 파악할 수 있다.

피란지인 강화에서는 천도할 때 황급한 나머지 예관(禮官)이 미처 가지고 오지 못한 50권 거질의 국가 전례서인 《상정예문 詳定禮文》을 최이가 가지고 온 한 질의 책에 의하여 주자(鑄字)로 28부를 찍어 여러 관서에 나누어 주기도 하였다.

몽고군의 침략에 결사적으로 항전하고 있는 난리중임에도, 이렇듯 주자로 손쉽게 거질의 책을 찍어냈다는 것은 천도 이전에 이미 개경에서 주자인쇄를 경험하여 별로 어려운 일이 아니었기 때문임을 입증해 준다.

그런데 이러한 중앙관서의 주자인쇄는 그 뒤에 원나라의 굴욕적인 지배로 학문과 교육이 위축되자 자연히 그 기능이 마비되고 말았다. 그러다가 원나라가 중원에서 신흥세력인 명나라에 의하여 북쪽으로 쫓기자 우리 국내에서도 배원사상이 싹트고 주권의 복구의식이 대두되었다.

이에 힘입어 마침내 학계에서도 종전처럼 서적포(書籍鋪)를 설치하고 주자를 만들어 경사자집(經史子集)의 책은 물론 의방서(醫方書)·병서(兵書)·율서(律書) 등에 이르기까지 고루 찍어 학문에 뜻을 둔 이들의 독서를 널리 권장하여야 한다는 건의가 제기되었다.

이것은 고려 말기의 학자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치서적포시병서 置書籍鋪詩並序〉에 나타나 있는 점으로 보아 그대로 믿어도 좋을 것이다. 이러한 요청으로 마침내 제도상으로 잘 처리되어 1392년 정월에 서적원(書籍院)이 설치되고 주자업무를 관장하는 영(令)과 승(承)의 직책이 마련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원나라의 굴욕적인 정치의 지배로 중앙관서의 주자인쇄 기능이 마비된 사이에 있었던 중요한 일은 개경에서 멀리 떨어진 지방사찰이 활자를 주조하여 불교서적을 찍어낸 점이다. 이는 중앙관서에 의하여 이루어진 주자인쇄의 이로운 점이 사찰에까지 영향을 끼쳐 활자를 주조해 책을 찍어낸 것이다.

그 주자본으로는 1377년 7월청주목(淸州牧)의 교외에 있던 흥덕사(興德寺)가 찍어낸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을 들 수 있다.

지방에 있는 사찰이 만든 주자이기 때문에 활자의 모양과 크기가 고르지 않고 각 줄의 글자 수에 한두자의 드나듦이 있어 옆줄이 맞지 않으며, 또 윗자와 아랫자의 획이 서로 닿거나 엇물린 것도 있다. 중앙관서의 주자본 《남명천화상송증도가》의 중조본(重彫本)과 비교하면 그 방법과 기술이 훨씬 떨어진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원나라의 굴욕적인 지배로 중앙관서의 주자인쇄 기능이 마비되었던 무렵 지방사찰이 활자를 주조하여 책을 찍어 고려 주자인쇄의 맥락을 이어준 점이다.

이것이 1972년 ‘세계 도서의 해’를 기념하기 위한 책 전시회에 출품되면서 이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금속활자본으로 온 세계에 알려져 우리가 최초로 금속활자 인쇄를 창안, 발전시킨 슬기로운 문화민족임을 공인 받은 사실이다.

고려의 현존활자로는 개경의 개인 무덤에서 출토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 ‘복(㠅)’활자 한 개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활자의 네 변 길이와 모양이 고르지 않고 뒷면은 타원형으로 옴폭 파져 있다.

주조가 거칠어 꼴이 가지런하지 않으나, 뒷면을 옴폭 들어가게 하여 그곳에 밀랍이 꽉 차서 인쇄 도중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동의 소비량을 줄이게 한 점에서 주목된다. 고려 금속활자 주조 및 조판기술사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실물자료라 하겠다.

고려의 주자인쇄를 세계인쇄문화사적인 관점에서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에서 최초로 발명된 활자는 교니각자(膠泥刻字)이다.

북송의 심괄(沈括)이 엮은 《몽계필담 夢溪筆談》에 의하면, 필승(畢昇)이 1041년부터 1048년 사이에 흙을 사용하여 활자를 만들었고 판을 짤 때는 철판 위에 송지랍(松脂蠟)과 종이재를 섞어서 깔고 그 위에 철로 만든 틀을 놓은 다음 활자를 배열하여 불로 녹이는 한편, 다른 평판으로 위에서 눌러 평평하게 하여 식힌 뒤에 인쇄한 것이다.

이 교니활자는 흙을 구워 만들었기 때문에 내구성이 없고 잘 부서져서 실용화되지 못하고 하나의 시도작으로 그치고 말았지만, 활자판의 이로운 점을 처음으로 인식시켜 준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또한 14세기 초기에 원나라의 왕정(王禎)이 엮은 《농서 農書》에도 이 활자가 소개되고 있는데, 인쇄 도중에 활자가 자주 떨어져서 뒤에는 진흙으로 만든 인판을 사용하여 계선 안에 진흙을 얇게 깔고 활자를 배열한 다음, 다시 솥 안에 넣고 구워 서로 고착시켜 인쇄하는 방법으로 바꾸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판을 짠다면 결국 그 활자는 한 번밖에 사용하지 못하므로 실용화되지 못한 하나의 발명작에 지나지 않았음이 분명하다. 그리고 위의 《농서》에는 ‘근세’에 주석을 녹여 활자를 만들어 판을 짜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는데, 활자를 철사로 꿰어 줄로 만든 다음 인판의 계선 안에 넣고 인쇄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활자면에 먹이 잘 묻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쇄 도중 활자가 자주 파괴되어 결국 실패하고 말았던 것이다. 그리하여 ‘지금’은 교묘하고 편리한 방법을 고안하여 사용중이라고 하면서, 목활자의 제조법과 판짜는 법을 소개하였다.

여기에서 ‘지금’은 《농서》가 엮어진 당시를 가리키는 것이고, ‘근세’는 몽고가 원으로 국호를 고친 1271년 무렵으로 볼 수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그보다 앞서 금속활자를 발명하여 《남명천화상송증도가》·《상정예문》 등을 찍어냈으므로 우리의 것보다 뒤졌음을 알 수 있다.

중국에서 금속활자의 인쇄를 실제로 성공시켜 책을 찍어낸 것은 명대(明代)의 1488년부터 1566년 사이(弘治·嘉靖年間)이다. 민간인쇄업자들에 의하여 이루어졌으며, 그 예로 무석(無錫)에 있던 화수(華燧)·화욱(華煜)의 회통관(會通館)과 화견(華堅)·화경(華鏡)의 난설당(蘭雪堂)에서 찍어낸 동활자본을 들 수 있다.

이들 활자본을 활자체, 활자 모양, 판짜기의 기술면에서 살펴볼 때, 중국의 서지학자들도 언급하였듯이 우리 동활자본의 영향을 받았음이 드러난다.

한편 유럽에 있어서는 독일의 구텐베르크(Gutenberg,J.)가 1440년대 말기에 처음으로 금속활자를 주조하여 인쇄하였다는 《세계심판 世界審判》·《천문력 天文曆》과 1455년을 전후하여 찍어낸 《사십이항성서 四十二行聖書》 등이 초기의 활자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인쇄술은 정교도가 크게 평가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 발명시기는 고려의 13세기 전기의 주자인쇄보다 200여 년이나 뒤졌다. 주자인쇄라면 그 창안시기로 보거나, 그간 꾸준히 발전시켜 활자 종류가 다양한 면으로 보거나, 우리가 세계에서 단연코 독보적인 위치에 있었으므로 문화민족으로서 더 없는 긍지요 자랑이라 하겠다. →활자

참고문헌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삼봉집(三峯集)』
『성호사설(星湖僿說)』
『동국후생신록(東國厚生新錄)』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藁)』
『수향편(袖香編)』
『몽계필담(夢溪筆談)』
『농서(農書)』
『한국고활자개요』(김원룡, 을유문화사, 1954)
『한국고인쇄기술사』(김두종, 탐구당, 1974)
『금속활자와 인쇄술』(손보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나려인쇄술의 연구』(천혜봉, 경인문화사, 1978)
『中國雕板源流考』(孫毓修, 臺北 商務印書館, 1964)
『印刷文化史』(庄司淺水, 東京 印刷學會 出版部, 1957)
「한국인쇄기술사」(손보기, 『한국문화사대계』 Ⅲ,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0)
「고려금속활자본과 그 기원」(윤병태, 『도협월보』 14-8, 1973)
「고문진보대전에 대하여」(천혜봉, 『역사학보』 61, 1974)
「주전술(鑄錢術)과 주자술(鑄字術)」(심우준, 『도서관학회지』 4, 1976)
「세계 초유의 창안인 고려주자인쇄술」(천혜봉, 『규장각』 8, 1984)
「금속활자」(천혜봉, 『한국사시민강좌』 23, 1998)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