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탄 ()

목차
관련 정보
한문학
작품
1886년(고종 23) 이건창(李建昌)이 지은 한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86년(고종 23) 이건창(李建昌)이 지은 한시.
내용

5언 100구의 장편고시이다. 작자의 문집 『명미당집(明美堂集)』 권4에 실려 있다. 제목 밑의 주에 그의 동생이 「악부(樂府)」 한 편을 지어줄 것을 요청하여 이 시를 지어 동생에게 보여주었다고 창작 동기를 밝히고 있다.

「고령탄」은 세조에 의해 고령군(高靈君)에 봉해졌던 신숙주(申叔舟)가 화자로 등장하여 자신의 과거에 대한 후회와 한(恨)을 스스로 탄식하는 작품이다. 이 시는 “인생이 결국 여기서 그치는구나(人生會止此).”라는 자탄사로 시작하여 몇 차례 내용전환마다 이 구절을 반복하면서 전개된다.

제1∼14구에서는 사족으로 벼슬하여 온갖 부귀영화를 누렸던 신숙주의 과거를 밝히고 있다. 제15∼24구에서는 부귀영화를 누리던 신숙주가 갑자기 병이 들어서 죽음에 이르게 되었다. 신숙주는 왕의 권능으로도 자신의 병을 소생시키지 못함을 말한다. 죽음 앞에서 무기력해진 신숙주의 모습이 그리고 있다.

제25∼30구에서는 신숙주가 자신의 59년간의 삶이 잘못되었음을 자인하는 대목으로 과거 일을 반성하는 도입부이다. 제31∼62구는 20∼40대에 이르는 기간 동안 세종의 총애를 받으며 집현전에서 보냈던 시절을 회고한 대목이다.

제63∼86구에서 신숙주는 세종이 자신에게 단종의 보위를 부탁하였던 일을 상기한다. 그러한 부탁을 저버리고 세조의 왕위찬탈음모에 가담하여, 옛 집현전 동료였던 박팽년(朴彭年)·성삼문(成三問)·하위지(河緯地)·유성원(柳誠源)·이개(李塏) 등을 죽게 하고, 홀로 수십 년 동안 부귀를 누렸음을 후회한 내용이다.

제87∼100구의 전반부에서 신숙주는 잘못된 자신의 과거 때문에 자신의 수명과 부귀가 59년으로 마감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죽은 뒤에 세종과 집현전 동료들을 어떻게 대할 수 있겠는가 하고 괴로워한다. 후반부에서는 이와 같은 자신의 일생을 거울삼아 세상에서 신하 노릇하는 자들이 경각심을 가지도록 촉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고령탄」은 역사 속의 한 인물인 신숙주를 등장시켜 스스로 자기를 비판하고 반성하도록 유도한 작품이다. 그러나 신숙주의 목소리는 단순히 과거를 향하여 울리는 것이 아니다. 작자 이건창은 신숙주를 통하여 당대 현실 속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자기비판과 반성을 촉구하는 것이다.

구한말 조선왕조의 붕괴를 눈앞에 둔 시점에서 「고령탄」은 우국(憂國)의 정신을 작품의 내면에 내재하고 있다. 이 시의 저변에는 현실의 문제에 뛰어들지 못하고 연약한 붓끝에 의지하여 전환기의 모순을 해결하려 노력하였던 고뇌에 찬 지식인의 모습이 보인다.

참고문헌

『이건창전집』(아세아문화사, 1978)
「개화기의 우국한시」(민병수, 『개화기의 우국문학』, 신구문화사, 1979)
「이건창과 그 일문의 문학」(민병수, 『동아문화』11, 서울대학교, 197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