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잉색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후기에 설치된 선혜청의 한 부서.
목차
정의
조선 후기에 설치된 선혜청의 한 부서.
내용

선혜청 내의 잡비 조달과 지출을 담당하였다. 1759년(영조 35) 처음 설치되었으며, 담당 낭청(郎廳)과 회계원[計士]이 임명되어 있었다.

공잉은 선혜청에서 공인(貢人)들에게 공가(貢價)를 지급할 때 받는 빈 섬의 값[空石價]과 선혜 각청에서 상납미를 징수할 때 부가세로 가징하던 잉미(剩米)를 지칭하는 것으로, 처음에는 공잉(空剩)이라 하였으나 뒤에 ‘空’자를 ‘公’자로 고쳤다.

빈 섬값은 1장에 쌀 2되씩을 받았고, 잉미는 상납미 1섬에 쌀 3되씩, 1,000석마다 20석을 징수하였다. 이렇게 조성된 자금은 선혜청 직원들의 봉급[月料], 그들 하인들의 수당[驅價], 서리와 하례(下隷)들의 월급[朔下] 기타 잡비로 사용되었다. 예산의 규모가 크고 남용의 폐단이 심하였기 때문에 1759년 전담관리부서를 설치하게 된 것이다.

이로부터 선혜 각 청은 공잉미를 공잉색으로 이송하고, 그 것을 수합하여 각 청의 운영비를 일원적으로 지급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공잉색을 각 청에서 윤번제로 맡았으나 1763년부터 강원청(江原廳)에서 전담하게 하였다.

참고문헌

『영남청사례(嶺南廳事例)』
『강원청사례(江原廳事例)』
『만기요람(萬機要覽)』
『조선후기경제사연구(朝鮮後期經濟史硏究)』(김옥근, 서문당, 1977)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