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란정첩 ()

목차
관련 정보
관란정석각
관란정석각
서예
문헌
조선후기 서예가 이우가 우리나라 역대 서예가들의 필적을 돌에 새기고 탁본하여 만든 서첩.
목차
정의
조선후기 서예가 이우가 우리나라 역대 서예가들의 필적을 돌에 새기고 탁본하여 만든 서첩.
내용

이우(李俁) 엮음. 1책 16면. 32×23.3㎝. 첩장본(帖裝本). 국립중앙도서관 소장(葦滄 고서). 편자인 낭선군(朗善君) 이우의 호를 따서 ‘관란정첩’이라 하였다.

신라의 김생(金生)·최치원(崔致遠)·영업(靈業), 고려의 탄연(坦然)·문공유(文公裕)·이암(李嵓)·한수(韓脩), 조선의 성석린(成石璘)·신장(申檣)·최흥효(崔興孝)·강희안(姜希顔)·박팽년(朴彭年)·안평대군(安平大君)·성임(成任)·정난종(鄭蘭宗)·성세창(成世昌)·김희수(金希壽)·김구(金絿)·성수침(成守琛)·황기로(黃耆老)·성종대왕(成宗大王)·송인(宋寅)·양사언(楊士彦)·한호(韓濩) 등 25인의 필적과 이우 자신의 발문을 포함하여 모두 26인의 글씨가 실려 있다.

서체는 해서·행서·초서로 각법(刻法)이 정교하다. 이우의 『잡저록(雜著錄)』에 실린 동국명필첩하소발(東國名筆帖下小跋)과 오세창의 『근역서화징』에 실린 관란정첩발(觀瀾亭帖跋)의 내용이 동일하므로 『동국명필첩』이 바로 『관란정첩』이 된다. 오세창이 소장했던 고서 중에는 『관란정석각(觀瀾亭石刻)』으로 전한다.

이우의 자서전인 『백년록(百年錄)』 현종 무신조(戊申條, 1668)에는 “동국의 명필을 간행하고 송시열(宋時烈)로부터 발문을 받았다.”고 하였다.

이우의 발문 중 일부(日附)인 “중광적분약이즉사백(重光赤奮若夷則死魄)”은 “신축년칠월삭망간(辛丑年七月朔望間)”으로 1661년에 해당되므로 송시열로부터 발문을 받기 7년 전에 이미 초정본(初定本)이 이루어졌다고 하겠다.

『관란정첩』은 양으로 볼 때 잔편(殘篇)이나 단갈(斷碣) 중에서 몇 줄씩 모각(模刻:본떠 새김)한 것이지만, 각법이나 선택면에서 『해동명적(海東名迹)』과 함께 우리나라 최고의 각첩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大東金石書解題』(今西龍, 京城帝國大學法文學部, 1931)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완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