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관상감 관천대 (서울 )

목차
관련 정보
서울 관상감 관천대 정측면
서울 관상감 관천대 정측면
과학기술
유적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전기 에 건립된 천문관측소. 천문관측시설.
이칭
이칭
보물제1740호, 소간의대, 첨성대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서울 관상감 관천대(서울 觀象監 觀天臺)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천문관측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1년 12월 23일 지정)
소재지
서울 종로구 원서동 206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전기 에 건립된 천문관측소. 천문관측시설.
내용

201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조선 초기의 관상감은 경복궁 영추문 안과 북부 광화방(廣化坊)의 두 곳에 있었는데, 이 중 북부 광화방의 관상감이 바로 지금 현대건설주식회사가 자리잡은 터에 있었던 것으로, 이 관상감이 세워질 때 관천대도 함께 축조된 것으로 보이며, 그 연대는 15세기 전반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 관천대는 옛 휘문중고등학교 안에 있었다가, 1984년 가을에 현위치에 복원되었다. 휘문중고등학교에 있을 때 측정된 방위와 경위도를 알아보면, 십자선이 그어져 있는 관측용 대석의 남북선 방위각은 353°로서 진북(眞北)방향에서 서쪽으로 7° 기울어져 있으며, 자북(磁北)방향과 거의 일치한다.

관천대 축조물의 방위각은 6°로서 진북방향에서 동쪽으로 6° 기울어져 있으며, 북위 37°35′0″, 동경 126°57′2″에 위치하고 있다.

서울 시내에는 이 외에도 창경궁 안에 또 하나의 관천대가 있으며, 그 축조 연대는 『서운관지(書雲觀志)』에 1688년(숙종 14)으로 밝혀져 있다.

특징

반듯하게 다듬어진 돌로 높이 4.2m, 가로 2.8m, 세로 2.5m 크기로 대를 쌓은 후, 정상 부분에 직사각형의 돌로 난간을 둘러 놓았다. 지금은 없어졌지만, 원래는 대 위로 올라가는 돌계단이 있었다고 한다. 2011년 11월 11일 기존 사적에서 보물로 승격되었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서운관지(書雲觀志)』
『서울육백년사-문화사적편-』(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87)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