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찰도 ()

목차
근대사
제도
조선 말기에 개정, 정비된 행정구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말기에 개정, 정비된 행정구역.
내용

1896년 8월 ‘지방제도 · 지방관제, 각부 직원봉급, 각부 고원봉급, 각 부청 경비배정, 각부 경비배정, 군수관 등 봉급의 시행을 폐지하는 건’에 의해, 그 이전 갑오경장의 일환으로 제정된 1895년 칙령 제98호 및 칙령 제101호의 ‘지방관제’에 따른 지방행정기구를 폐지하고, 1896년 8월 4일 반포된 ‘지방제도 · 관제 · 봉급 · 경비 개정’에 의하여 종전의 23부제(府制)를 13도제로 고치고 그 장관으로 관찰사를 두어 관장하도록 한 행정구역이다.

즉, 전국을 13개의 도로 나누어, 경기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황해도 · 평안남도 · 평안북도 · 강원도 · 함경남도 · 함경북도로 획정하였다. 그리고 각 도의 수부(首府)는 수원 · 충주 · 공주 · 전주 · 광주 · 대구 · 진주 · 평양 · 정주 · 춘천 · 함흥 · 경성으로서 각 도의 관찰부가 설치되었다.

각 수부에는 관찰사 1인, 주사 6인, 총순(總巡) 2인, 순검(巡檢) 30인, 서기 10인, 통인(通引) 4인, 사령(使令) 15인, 사용(使傭) 8인, 사동 8인을 두었으며, 1년예산 1만530원으로 운영되었다. 각 도의 관할규모는 경기도의 경우 4부 30군으로 한성부는 분리시켜 서울에 두고 중앙직할로 획정되었다.

충청북도 10군, 충청남도 14군, 전라북도 26군, 전라남도 33군, 경상북도 41군, 경상남도 1부 29군, 평안남도 14군, 평안북도 19군, 함경남도 17군, 함경북도 11군이다. 13도가 소관하는 각 군은 5등으로 구분되며, 각 군수를 파견하였으나 제주의 경우는 목사를, 광주 · 개성 · 강화 · 인천 · 동래 · 덕원 · 경흥은 부윤을, 한성부는 판윤을 임명하였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일성록(日省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