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활자본. 1914년 그의 아들 순모(舜謨)가 편집, 간행하였다. 노상직(盧相稷)의 서문과 장석영(張錫英)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79수, 서(書) 4편, 잡저 1편, 기 1편, 발문 2편, 제문 3편, 권2는 부록으로 가장 1편, 행장 1편, 묘갈명 1편, 묘지명 1편, 제문 9편, 구계와기(龜溪窩記) 3편, 구계와시십(龜溪窩詩什) 71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 가운데 「계고음(稽古吟)」 19수는 칠언절구로 도통(道統)의 연원을 이은 인물들을 순차로 열거, 그들의 공적과 덕업을 읊은 것이고, 「동국음(東國吟)」 12수는 우리나라 역사를 오언율시로 표현한 것으로, 이 두 작품은 그의 시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잡저의 「계자(戒子)」에서는 인간이 천품을 받고 태어날 때에는 누구나 원(元)·형(亨)·이(利)·정(貞) 사덕(四德)의 진성(眞性)과 오행(五行)인 금·목·수·화·토의 빼어난 기(氣)를 가지고 있지만, 훌륭하게 되고 되지 않는 것은 가르치고 가르치지 않는 데 달려 있다고 하면서, 치가(治家)하는 요점인 사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