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1책. 석인본. 1960년 그의 직손 택순(宅淳)이 수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상규(權相圭)의 서문과 권말에 손제익(孫濟翼)·최장식(崔章植), 족손 태진(泰鎭) 등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세계도가 첨부되어 있으며, 권1에 시 34수, 권2에 서(書) 4편, 소 1편, 정문(呈文) 2편, 변정록(辨正錄) 11조, 기 2편, 서종선조매와공기사후(書從先祖梅窩公記事後) 1편, 권3은 부록으로 만사 27편, 제문 6편, 권4에 가장 1편, 행장 1편, 묘지명 1편, 묘갈명 1편, 박씨가록약초(朴氏家錄略抄) 1편, 운곡서원고왕록약초(雲谷書院考往錄略抄) 1편, 갈산집중건원시일기약초(葛山集中建院時日記略抄) 1편, 태극문변서변정시연명록(太極問辨書卞正時聯名錄)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의 「태극문변서피무정변소(太極問辨書被誣正變疏)」는 주돈이(周敦頤)와 주희(朱熹), 그리고 우리나라의 이언적(李彦迪) 등 3대현의 도통을 전하는 글인 정구(鄭逑)의 『태극문변』이 무함을 입은 데 대하여 정변한 상소문이다. 「변정록」 11조에서는 보다 더 구체적으로 피무의 사실을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