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나행 ()

목차
연극
작품
고려 말 이색(李穡)이 지은 한시(漢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말 이색(李穡)이 지은 한시(漢詩).
내용

그의 문집인 『목은집(牧隱集)』에 수록되어 있다. 7언 36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고려 구나행사(驅儺行事)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어 민속연구의 주요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내용을 살펴보면, 제1구에서 제14구까지 전반부에서는 가면을 쓴 창사(倡師)와 12지신, 진자(侲子, 아이 초라니)들이 등장하여 역귀를 쫓는 종교적 행사인 구나를 읊었고, 제15구부터 제28구까지 후반부에서는 구나가 끝나고 여러 연희자가 입장하여 상연하는 가무백희(歌舞百戱)를 읊었다.

즉, 오방귀무(五方鬼舞)와 같은 제무(祭舞)와 불 토하기[吐火]와 칼 삼키기[呑刀]의 기기(奇伎), 서역호인놀이(西域胡人戱), 화교(華僑)의 답교놀이, 신라 이래의 처용무(處容舞)와 여러 짐승의 탈을 쓰고 추는 춤(百獸舞) 등이 그려져 있다.

특히, 이 시의 전반과 후반을 비추어 볼 때 나례행사가 점차 역귀를 쫓는 종교적 의식보다는 관중을 즐겁게 하는 구경거리, 즉 가무백희에 비중을 두게 되고, 그 결과 나례가 나희(儺戱)로 변모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어 중시된다.

참고문헌

『한국전통연희사』(전경욱, 학고재, 2020)
「목은(牧隱)선생의 구나행(驅儺行)」(이혜구, 『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95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