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 ()

목차
연극
인물
해방 이후 「양주별산대놀이」 해금 전승자로 지정된 예능보유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4년(고종 31)
사망 연도
1962년
출생지
경기도 양주구읍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해방 이후 「양주별산대놀이」 해금 전승자로 지정된 예능보유자.
내용

1894∼1962. 성운(盛運)의 아들로 경기도 양주구읍(楊州舊邑)에서 출생했다. 아버지는 무부(巫夫)이자 「양주별산대놀이」의 명연희자이며 모가비였고, 어머니 한간난이는 ‘옴팽이 만신’이라는 이름으로 양주군일대에서 이름난 큰무당이었다.

14세 때부터 아버지와 이창유(李昌裕)에게서 산대춤을 배웠는데, 특히 왜장녀의 배꼽춤은 이들을 본받아 배웠다고 한다. 학력은 서당에 다녔을 뿐이나, 20∼30세 동안에는 헌병보조원을 지내고, 그 뒤로는 광복 10년 전까지 순사를 지냈으며, 광복 때까지 소방단장과 경방단부단장(警防團副團長) 등을 지냈다.

순사를 그만둔 뒤에는 양주구읍에서 소실을 두고, 청요리점을 경영하기도 했다. 그는 민족항일기에도 「양주별산대놀이」를 계속하였고, 6·25남침으로 마을이 소실되었으나, 환도 후 다시 가면을 제작하여 탈놀이를 계속하게 한 중심인물이었다.

1957년 11월 9일 한국연극학회 주최로 이화여자고등학교 노천극장에서 「양주별산대놀이」를 공연함으로써 광복 후 처음으로 일반에게 이들의 탈놀음을 선보였고, 박준섭(朴俊燮) · 박동환(朴東煥)과 더불어 명연희자로서의 솜씨를 보였다.

아들 상용(相容)도 3대째 대를 이은 「양주별산대놀이」 연희자로 1964년에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인 「양주별산대놀이」의 예능보유자(목중, 도끼누이역)로 지정되었다. 특히, 노장과 취발이역을 잘 하였으며 가면을 제작했고, 「양주별산대놀이」가 오늘날에 이어지게 한 중심인물이다.

참고문헌

『한국가면극(韓國假面劇)』(이두현, 문화재관리국, 196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