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자무불성 ()

목차
불교
개념
개에게 불성이 없다는 뜻으로 선종에서 해탈을 위한 방편으로 삼는 화두. 조주무자.
이칭
이칭
조주무자(趙州無字)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개에게 불성이 없다는 뜻으로 선종에서 해탈을 위한 방편으로 삼는 화두. 조주무자.
내용

‘조주무자(趙州無字)’라고도 한다. 당나라 때 한 수행승이 선사 조주에게 “개에게도 불성이 있습니까?” 하고 물었을 때 “없다(無).”고 한 것에 대해, ‘일체 중생에게는 모두 불성이 있는데 왜 개에게는 불성이 없다고 했는가.’를 의심하는 것이다. 이 의문을 타파하게 되면 견성(見性)한다고 한다.

이 화두를 참선하는 방편으로 제시한 이는 송나라의 대혜(大慧)로서, 당시의 승려와 속인들에게 권고하여 실천하게 하였다. 『대혜어록』 30권 중 25∼30권까지는 주로 이 화두를 공부하는 방편을 지도한 서신 문답을 모은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이 화두에 의거해서 수행인들을 지도한 최초의 인물은 고려 중기의 승려 지눌(知訥)이다. 그는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을 지어 이 화두를 잡는 법을 명시하였고, 수제자인 혜심(慧諶)에게 이 화두로써 수행하게 하였으며, 이 화두를 들 때 일어나기 쉬운 10종의 병(病)을 자세히 해설하였다.

지눌 이후 조계산 수선사(修禪社)에서는 혜심을 비롯한 16국사들이 모두 이 화두로써 참선하는 방편을 삼았으며, 특히 혜심은 『구자무불성화간병론(狗子無佛性話揀病論)』을 지어서 이 화두를 잡는 방법의 지침을 제시하였다. 그 뒤부터 수선사는 물론 다른 9산선문(九山禪門)에서도 이 화두법을 널리 채택하였다.

조선 중기의 휴정(休靜)도 『선가귀감(禪家龜鑑)』에서 이 화두를 경절문(徑截門)의 방편으로 삼아 수행할 것을 권하고 있다. 그 뒤 우리나라의 선원(禪院)에서는 이 화두를 가장 많이 채택하게 되었으며, 불교의 1,600가지 화두 중 이 화두를 깨쳐서 견성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참고문헌

『대혜서장(大慧書狀)』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
『구자무불성화간병론(狗子無佛性話揀病論)』
『선가귀감(禪家龜鑑)』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