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민속국악원 ()

목차
국악
단체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어현동에 있는 국립민속예술기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어현동에 있는 국립민속예술기관.
내용

국악기관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삼국시대의 음악서(音樂署), 고려시대의 대악서(大樂署) · 전악서(典樂署) · 아악서(雅樂署), 조선시대의 장악원(掌樂院), 일제강점기의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 광복 후의 구왕궁아악부(舊王宮雅樂部), 1955년의 국립국악원 발족, 운영과 함께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그러나 주로 아악만을 중심으로 하였기 때문에 1961년 민속음악계의 박헌봉(朴憲鳳) 등이 국가재건최고회의에 민속음악 발전을 강구토록 청원을 제기하였고, 1980년대 초 남원의 국악인들이 민속국악원 설치운동을 전개한 끝에 1991년 12월 17일 대통령령 제13520호로 직제가 공포되었고, 1992년 3월 20일 국립민속국악원이 개원되었다.

각 지방의 민간에 산재해 있는 음악자료의 발굴 및 보존, 새로운 가치로의 전환을 목적으로 설립된 국립민속국악원은 개원한 이래 남원시 소유건물을 임시청사로 사용하여 공연활동을 펼쳐오던 중 1997년 5월 신청사를 개관하였다.

지하 1층, 지상 3층, 총 2,581평에 832석의 객석이 마련된 신청사의 공연장은 수납 이동방식을 채택하여 전 객석이 공연장의 후면으로 이동하고 객석이 차지하던 공간이 마당형태의 공간으로 활용되도록 구성된 특수한 객석이 특징이다.

중앙과 지방간의 문화 균점화와 지역특색을 살린 다양한 행사들로 민속음악 및 무용의 계승과 발전, 시대의 추이에 발맞추는 전통문화의 창조적 개발을 위해 각종 공연 · 교육 · 연구사업을 수행하며 국립음악기관으로서의 면모에 충실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집필자
박재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