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상유 ()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대사간, 도승지, 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계문(季文), 유도(有道)
구계(癯溪)
시호
정헌(正獻)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56년(효종 1)
사망 연도
1724년(경종 4)
본관
안동
주요 관직
대사간|도승지|이조판서
관련 사건
신임사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대사간, 도승지, 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계문(季文) · 유도(有道), 호는 구계(癯溪). 아버지는 증영의정 권격(權格)이며, 어머니는 함평이씨(咸平李氏)로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이초로(李楚老)의 주1

생애 및 활동사항

처음에는 맏형 권상하(權尙夏)에게서 글을 배우다가 뒤에 송시열(宋時烈)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94년(숙종 20) 주2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에 등용되었으며, 봉교(奉敎)와 춘방설서(春坊說書)를 거쳐 사간원정언으로 승진되었다. 이어 옥당(玉堂)에 참여하여 수찬 · 교리가 되었다가, 병조좌랑 · 사간원헌납 · 지제교(知製敎) 등을 거쳐 부응교겸필선에 승진하였다.

윤휴(尹鑴)가 주자학을 호만(浩漫)하다고 비판하고, 박세당(朴世堂)이 『사변록(思辨錄)』을 지어 주자학을 배척하여 왕명에 의해 그 책이 불태워질 때, 두 사람을 공박하는 내용의 변설문(辨說文)을 작성해 김창협(金昌協)으로부터 그 학식을 높이 칭찬 받았다. 경연(經筵)에서는 호족의 폐해와 군제(軍制)의 개혁을 주장하고, 또한 궁장(宮庄)의 절수(折受)가 성덕의 허물이 됨을 주장하였다.

1703년 수원부사가 되어 관리의 비행을 숙정(肅正)하는 등 치적을 남겼고, 1704년 대사간이 되고, 동부승지 · 이조참의 · 예조참의 · 공조참의 등을 거쳐 전라관찰사가 되었다. 1709년 개성유수를 거쳐 평안감사에 임명되었으나, 공의(公議)에 따라 대사성으로 옮긴 뒤 도승지가 되었다.

대사헌 정호(鄭澔)가 윤증(尹拯)을 논핵한 일로 숙종의 노여움을 사서 귀양갈 때 연루되어 면직되었다가 곧 서용(敍用)되어 이조 · 예조 · 병조 · 형조 · 공조의 5조참판을 역임한 뒤, 한성좌윤과 부제학을 거쳐 대사헌이 되었다. 그 뒤 국경의 확정 문제로 관서접반사(關西接伴使)가 되었고, 해적의 진무를 위해 호남순무사가 되기도 주3

1715년 형조판서, 1716년 호조판서가 되었다가 예조판서 · 한성판윤 · 우참찬 등을 지냈다. 그 뒤 이조판서가 되어 숨은 인재를 많이 등용했으나, 1721년(경종 1) 신임사화 때 탄핵을 받아 삭직되어 문외출송(門外黜送: 죄인을 한성부의 사대문 밖으로 추방하는 형벌)을 당했다가 이듬 해 풀려났다. 그 뒤 향리로 돌아가 여생을 마쳤다. 성리설에 밝았으며, 특히 『논어』와 『주역』에 관통하였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정헌(正獻)이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경종실록(景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주석
주1

본관 및 가계 : 『국조문과방목』 卷之十三(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2

문과 급제 : 『국조문과방목』 卷之十三(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3

전라도 순무사 역임 : 『숙종실록』 49권, 1701년(숙종 36) 11월 8일. "이만성·권상유·윤지인·윤취상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