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축 ()

근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홍문관수찬, 시강원 겸 문학, 이조정랑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경순(景淳)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46년(헌종 12)
사망 연도
1895년(고종 32)
본관
안동(安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홍문관수찬, 시강원 겸 문학, 이조정랑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순(景淳). 아버지는 공조참판 주1

생애 및 활동사항

1882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주2하여 예문관검열 · 홍문관수찬 · 시강원 겸문학 등을 거쳐 1889년 이조정랑에 이르렀다.

1895년 1월 단양군수를 지낼 때 경기도 지평에서 봉기한 이춘영(李春永) · 안승우(安承禹) 의병부대와 제천에서 봉기한 이필희(李弼熙) · 주용규(朱庸圭) · 서상렬(徐相烈) 의병부대가 연합하여 단양으로 진격해와 그들에게 잡혀 포로가 되었다가 풀려났다. 그 뒤 2월에 제천에서 봉기한 유인석(柳麟錫) 의병부대에 또 체포되어 2월 15일 참형되었다.

이 때 권축이 참형된 것은 평소 친일개화내각의 정령(政令)의 급속한 실행을 서둘러 민비(閔妃)의 폐위 조칙이 있었을 때는 즉일로 전포(傳布)하여 알게 하였지만 그 뒤 복위 조칙이 있었을 때는 전포하지 않았으며, 민간에 전령하여 의병에게 미곡이나 세납 등을 일체 주지 말라고 하여 의병활동을 방해함으로써 유생과 의병들에게 원한을 샀기 때문이었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독립운동사』 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주석
주1

본관 및 가계 : 『국조방목(國朝榜目)』 卷之十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

주2

문과 급제 : 『국조방목(國朝榜目)』 卷之十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