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정사지 ()

목차
관련 정보
남원 귀정사지
남원 귀정사지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동면 만행산(萬行山)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사찰터.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귀정사지(歸政寺址)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시도기념물(1985년 08월 16일 지정)
소재지
전북 남원시 산동면 대상2길 246 (대상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동면 만행산(萬行山)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사찰터.
내용

1985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귀정사는 515년(백제 무령왕 15)에 현오국사가 창건하였으며, 창건 당시의 이름은 뒷산의 이름을 딴 만행사였다.

그 후 1002년(목종 5) 대은선사(大隱禪師)가 크게 중수하였으며, 1468년(세조 14) 낙은선사(樂隱禪師)가 또 한 번 중수하였다.

기록에 따르면, 당시의 불당은 산을 메웠고, 승려의 수가 200명을 넘었으며, 경내에 법당 · 정루 · 시왕전 · 향적전 · 선당 · 만월당 · 승당 · 상암 · 연화당 · 명월당 · 문수전 · 삼광전 · 대은암 · 남암 · 영당 등이 있었다 한다.

이 같은 시설규모로 보아 만행사의 경역이 상당히 넓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중간에 절이름이 바뀐 것은 고려 말 이성계(李成桂)가 남원지역의 왜구를 격퇴하고 돌아가던 중 만행사에서 3일간 법회도 보면서 당시의 정세를 논하였다고 하여 ‘정사를 보고 돌아갔다’는 뜻의 귀정사로 명칭을 고쳤다고 한다.

그 뒤 귀정사는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으며, 1664년(현종 5) 설제대사(雪霽大師)가 비교적 옛모습으로 복구하였다. 이어 1804년(순조 4) 현일(玄一)이 대웅전 · 시왕전 · 칠성각 · 산신각 · 선당 · 회승각 등 많은 건물을 중건하였으나, 6·25 때 다시 불타 버렸다고 한다.

근래에 와서는 1968년에 정동(瀞東)이 대웅전 · 칠성각 · 승방 등을 중건하였으며, 1990년대 초에는 보광전 오른쪽에 요사를 지었다.

현재 주존 건물은 보광전인데, 보광전에는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석가모니불과 아미타불이 협시한 삼신불이 봉안되어 있다. 현재 귀정사 부근에는 서산대사의 제자로서 임진왜란 때 승병을 일으켜 공을 세웠던 해안(海眼)의 것으로 추정되는 부도가 깨어진 채 있는데, ‘中觀(중관)’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귀정사 주변의 암자터도 발견되었는데, 남암(南庵)터는 귀정사 정면의 개울 앞에 있었다고 하며, 내원암(內院庵)터는 절 밑에서 왼쪽으로 돌아가면 있고, 북암(北庵)터는 절 위쪽에서 오른쪽으로 돌아가면 나온다.

참고문헌

『한국불교사학대사전』(보련각, 199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