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련사지 ()

목차
관련 정보
무주 백련사지
무주 백련사지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사찰터.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백련사지(白蓮寺址)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시도기념물(1979년 12월 27일 지정)
소재지
전북 무주군 설천면 백련사길 580 (삼공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사찰터.
내용

1979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백련사라는 이름은 신라 문무왕 때 백련선사(白蓮禪師)가 숨어 살던 곳으로 여기에 백련이 솟아 나왔다 하여 백련암이라 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져오며, 830년(흥덕왕 5)에 무염국사(無染國師)가 백련사를 창건하였다는 구전도 있지만, 이에 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백련사에 관계된 기록은, 중선 중기 광주목사(光州牧使)를 지냈으며, 1552년(명종 7)에 덕유산을 기행한 임훈(林薰)의 《갈천집 葛川集》에 〈덕유산향적봉기 德裕山香積峰記〉가 있다.

여기에 보면 성불공자(成佛功者) 9천명이 살았다고 하여 구천둔(九千屯)이라고 안내한 스님 웅(雄)이 설명했다는 구천동(九千洞)에는 14개의 사찰이 있었다고 한다. 이 중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백련사는 구천동 계곡에 있다.

천왕문 앞 왼쪽에는 1609년(광해군 1)에 세워진 정관당부도(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1982년 지정)가 있으며, 일주문 안쪽에도 1784년(정조 8)에 세워진 매월당부도(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1974년 지정)가 있다.

이제까지 이 부도는 매월당김시습의 부도로 알려져왔으나, 실제로는 또다른 매월당인 설흔(雪欣)스님의 부도로 밝혀 졌다. 백련사는 1960년대 후반 본격적인 중창불사를 시작하여, 현재는 원통전 · 명부전 · 보제루 · 천왕문 · 일주문 · 범종각을 복원하였고, 대웅전의 삼존불과 후불탱화를 봉안하였다.

참고문헌

『전통사찰총서』(사찰문화연구원, 1994)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