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장전운 ()

규장전운
규장전운
언어·문자
문헌
조선후기의 실학자 이덕무 등이 동음과 화음을 함께 표시하여 1796년에 간행한 한자 운서.
정의
조선후기의 실학자 이덕무 등이 동음과 화음을 함께 표시하여 1796년에 간행한 한자 운서.
서지적 사항

2권 1책. 목판본. 동음(東音 : 朝鮮의 漢字音)과 화음(華音 : 中國의 本土字音)을 함께 표시한 운서로, 이덕무가 1792년(정조 16)까지 주로 편찬하고, 윤행임(尹行恁)·서영보(徐榮輔)·남공철(南公轍)·이서구(李書九)·이가환(李家煥)·성대중(成大中)·유득공(柳得恭)·박제가(朴齊家) 등이 교정한 다음, 1796년에 간행하였다. 그 뒤 방각본(坊刻本)으로도 많이 인행되어 이본이 많다.

내용

3단식 체재로 평성(平聲)·상성(上聲)·거성(去聲)을 한꺼번에 나열하고, 입성(入聲)을 따로 책 끝에 나열해 오던 종래의 ≪삼운통고 三韻通考≫ 계열의 운서인 ≪화동정음통석운고 華東正音通釋韻考≫·≪삼운성휘 三韻聲彙≫ 등과는 그 체재를 달리 하여 평·상·거·입성을 한꺼번에 표시한 4단식 운서이다.

이 운서편찬에는 당시 국내에 널리 쓰이던 ≪삼운통고≫에만 의존하지 않고, 명나라 장보(章黼)의 ≪운학집성 韻學集成≫, 송나라 오역(吳棫)의 ≪운보 韻譜≫, 명나라 양신(楊愼)의 ≪고음약례 古音略例≫, 청나라 소장형(邵長衡)의 ≪고금운략 古今韻略≫ 등을 광범위하게 참작하였다.

운서 안에 한자를 나열할 때에는 한글 자모 순서에 따라서 한자음을 분류하여 배열하였다. 다만, 이 책의 편찬자들이 나타내고자 한 우리 나라 전승자음은 어느 정도 규범성을 띤 것이어서, ≪화동정음통석운고≫에서는 당시 일반 대중이 발음하고 있던 한자음을 속음으로 표시하였으나, ≪규장전운≫에서는 규범음만을 나타내었다.

이런 면을 보충하기 위하여 이른바 속음도 아울러 표시하는 ≪전운옥편 全韻玉篇≫이 편찬되었는데, 이 옥편은 ≪규장전운≫을 저본으로 한 획인자전(劃引字典)이었다.

≪규장전운≫도 우리 나라의 다른 운서와 마찬가지로 106운계 운서이며, 1만3345자가 수록되어 있다. ≪규장전운≫은 1846년(헌종 12)에 ≪어정시운 御定詩韻≫이라는 이름이 붙여져 수진본용(袖珍本用)으로 복각되었다.

이 책의 첫머리에는 서문이나 범례가 없고, 의례(義例)만이 붙어 있는데, ≪어정시운≫에는 윤정현(尹定鉉)이 쓴 간략한 범례가 붙어 있다.

그러나 내용에 있어서는 두 책이 거의 같고, 자수에서 몇 자가 틀려 ≪어정시운≫은 1만3343자가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당시 중국 한자음과 우리나라 한자음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한국운서연구」(강신항, 『성대문학』 15·16, 1970)
「朝鮮漢字音の硏究」(河野六郞, 日本 天理時報社, 1968)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강신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