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음’이라 읽는다. 국어의 자음 가운데 위 아래 입술로 입을 다물고 날숨을 코 안으로 내보내며 목청을 울려서 내는 유성 양순 비음(有聲兩脣鼻音)을 표기하는 데 쓰인다.
훈민정음 창제 때에는 ‘상구형(象口形)’이라고 하여 입의 모양을 본떠 이 글자를 만들고 같은 순음(脣音)에 속하는 ‘ㅂ·ㅍ·ㅁ’ 음 가운데 ‘ㅁ’음이 가장 세지 않다 하여 ‘ㅁ’자를 순음의 기본 글자로 삼았으며, 나머지 두 글자는 ‘ㅁ’자에 획을 더하여 만들었다.
『훈민정음』(해례본) 본문에서는 “ㅁ은 입술소리니 미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ㅁ 脣音如彌字初發聲).”라고 설명하고, 『훈민정음』(국역본)에서는 “ㅁᄂᆞᆫ 입시울쏘리니 彌밍ㆆ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라고 하여 ‘ㅁ’음의 음가를 ‘彌’자의 한자음으로 설명하였고, 『훈민정음』 (해례본) 제자해에서는 ‘ㅁ’음을 순음의 불청불탁(不淸不濁)에 소속시켜 이 음이 양순 비음임을 보였다.
이 글자의 이름은 처음으로 한글의 이름을 보인 『훈몽자회』(1527) 범례의 ‘초성종성통용팔자(初聲終聲通用八字)’란에서는 ‘ㅁ 眉音’이라고 하였으며,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1933)에서 ‘미음’으로 정하여 이것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자모의 순서는 훈민정음 창제 때 아음·설음·순음·치음·후음 등 조음 위치 순으로 하여 아음인 ‘ㄱ’자로부터 열두 번째였으나, 『훈몽자회』 범례의 ‘초성종성통용팔자’란부터 ㄱㄴㄷㄹㅁㅂㅅㆁ과 같이 다섯 번째가 된 뒤 오늘날까지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