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재집 책판 ( )

목차
관련 정보
근재집 책판
근재집 책판
출판
유물
국가유산
고려 말기의 문인 근재 안축(安軸, 1287∼1348)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책판.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안축 근재집 목판(安軸 謹齋集 木板)
분류
기록유산/서각류/목판각류/판목류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9년 12월 29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함안군 고분길 153-31 (가야읍, 함안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말기의 문인 근재 안축(安軸, 1287∼1348)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책판.
개설

1979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총 93매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안축의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당지(當之), 호는 근재(謹齋)이다. 고향 순흥의 죽계(竹溪:지금의 풍기)에서 세력기반을 가지고 중앙에 진출한 신흥유학자층의 한 사람으로, 탁월한 재질로 학문에 힘써서 글을 잘하였다.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했고, 1324년(충숙왕 11)에 원나라 제과(制科)에도 급제하였다.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가 되어 민지(閔漬)가 지은 『편년강목(編年綱目)』을 이제현(李齊賢) 등과 개찬하였고, 충렬 · 충선 · 충숙 3조(朝)의 실록편찬에 참여하였다. 경기체가인 「관동별곡(關東別曲)」과 「죽계별곡(竹溪別曲)」을 지어 문명이 높았으며, 순흥의 소수서원(紹修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고, 저서로는 『근재집』이 있다.

『근재집』은 일찍이 제주도에서 간행되어 나주로 옮겨 보존되었으나, 오랜 세월이 흘러 없어져 버렸다. 이 책판이 판각되기 이전에 안축의 사위인 정양생(鄭良生)이 고려 공민왕 14년(1365)에 안축이 지은『관동와주집(關東瓦注集)』을 청주에서 간행한 것을 비롯하여 그의 손자 안숭선이 미처 수록되지 못한 유고를 편집, 정리하여 세종 27년(1445)에 목판본으로 간행한 것이 있다.

이 책판은 1910년 안유상(安有商) · 안풍상(安風商) 형제가 세고(世稿)를 제외한 부록을 증보하는 한편, 저자의 동생인 안보(安輔)의 시문 및 관계기록을 모은 『문경공일고(文敬公逸稿)』를 첨록하여 함안에서 판각한 것이다. 현재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신음리 순흥안씨 문중에 소장되어 있고, 1979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문헌

『경남문화재대관』(경상남도, 1995)
『근재집(謹齋集)』(安軸, 한국고전번역원, 『韓國文集叢刊』, 2013)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효경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