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양잡록 ()

금양잡록
금양잡록
산업
문헌
조선전기 문신 강희맹이 사계절의 농사와 농작물에 관하여 1492년에 저술한 농업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금양잡록』은 조선 전기 문신 강희맹이 사계절의 농사와 농작물에 관하여 1492년에 저술한 농업서이다. 저자 개인의 경험과 노농들과의 대화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경기도 일대의 농업 사정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농작물의 품종과 특성, 논 경운과 파종의 방법, 풍해와 가뭄에 대한 지적, 작물을 심을 적절한 땅의 선택 등 다양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농사직설』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오랜 농서의 하나로 농업사 연구에 귀중한 문헌이다. 고유어인 곡물 이름을 이두와 한글로 표기하여 15세기 말의 국어사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목차
정의
조선전기 문신 강희맹이 사계절의 농사와 농작물에 관하여 1492년에 저술한 농업서.
내용

저자가 52세에 좌찬성에서 물러나 그의 빙부가 남긴 경기도 금양현(衿陽縣)에 있는 묘막에 은거하여 손수 농사를 지으며 그곳 노농(老農)들과의 대화와 자신의 체험을 토대로 지은 것으로, 은퇴한 1475년(성종 6)에서 몰년인 1483년 사이에 완성되었다. 그런데 조위(曺偉)의 서문이 1491년 신해(辛亥)에 쓰였고, 맏아들 강구손(姜龜孫)의 발문이 1492년에 쓰인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인간(印刊)은 구손에 의해 저자가 죽은 뒤 1492년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농서는 조선 초기의 농사기술에 관한 저서인 『농사직설(農事直說)』과 쌍벽을 이루는 저서이며, 전자가 관찬(官撰)인 데 반해 이 책은 저자 개인의 경험과 견문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당시 경기도 일대의 농업 사정을 살피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내용은 농가곡품(農家穀品) · 농담(農談) · 농자대(農者對) · 제풍변(諸風辨) · 종곡의(種穀宜) · 농구(農謳) 등 6개항으로 나누어져 있다.

「농가곡품」에서는 각 작물(쌀 · 맥류 · 서속류 · 두류 등)의 품종(합계 80종)별로 이삭과 열매의 형상 · 색깔, 환경에 대한 적응성, 수확기, 밥을 지었을 때의 맛까지 일일이 설명하고 있는데, 한자명과 아울러 이두식 표기에는 그 아래 국문명까지 병기되어 있다. 그 중 벼의 품종 이름이 거의 3분의 1이나 되어, 벼농사[水稻作]가 주식량작물 재배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벼 품종 중에는 중국일본에서 도입된 듯한 것들도 있어, 당시 외국과 기술교류도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다른 농부들과의 대담에서 취한 「농담」에서는 벼 올심기의 이로움과 그 관리법, 논 경운의 횟수와 심천(深淺), 그리고 파종의 소밀(疏密) 등에 관하여 논하고, 아울러 관의 농정책을 날카롭게 비판하였다.

「제풍변」에서는 농가의 피해로 가뭄 다음으로 풍해를 지적하고, 비를 점치는 법의 비합리성을 논하며, 우리나라는 지세로 보아 바다를 지나 불어오는 바람은 따뜻하여 운우(雲雨)를 만들고, 산을 거쳐 넘어오는 바람은 차가워 작물을 손상하며, 풍해 중에서는 동풍에 의한 것이 많다 하였다.

「농구」에서는 작물을 적당한 땅에 심을 것을 강조하여, 땅이 다습하고 기름진 데에는 올심기가 좋고, 땅이 마르고 굳은 곳에는 늦심기가 적합하며, 늦심기는 지력(地力)이 느려 작물의 생육이 완만하기 때문이라 하였다. 「농구」는 14수의 한시로 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호미를 차고 늘 부지런하자, 김매기를 자주 하자, 상인들의 부(富)는 농사짓는 이들로부터 온다, 샛밥의 즐거움, 추수의 기쁨 등 농사의 괴로움과 보람을 시로 읊은 것이다.

이 책은 다른 농서에 비하여 체재와 내용이 판이하고 독자적인 관찰과 분석이 있어서, 인조 때 신속(申洬)이 『농사직설』 · 『사시찬요초(四時纂要抄)』 등을 합하여 『농가집성(農家集成)』을 만들 때 그 기본서가 되었다. 원간본은 단행본으로 간행되었는데, 현재 후쇄본이나 유일본으로 일본 동경의 내각문고(內閣文庫)에 소장되어 있다. 중간본은 1581년(선조 14) 『농사직설』에 합철된 것과 1655년(효종 6)신속이 편찬한 『농가집성』에 수록된 것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1581년의 중간본은 1981년에 영인되어 『농서(農書)』 1에 수록되어 아세아문화사에서 간행되었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1581년 중간본이 소장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금양잡록(衿陽雜綠)』은 우리나라의 오랜 농서의 하나로서, 농업사 연구에 귀중한 문헌이 될 뿐만 아니라, 고유어를 이두와 한글로 표기한 곡물 이름(예컨대, 오려[早稻]에 ‘救荒狄所里 구황되ᅀᅩ리 一名氷折稻 어름것기’, 콩[大豆]에 ‘百升太 온되콩, 火太 블콩, 者乙外太 쟐외콩’ 등)은 15세기 말의 국어사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참고문헌

『금양잡록(衿陽雜綠)』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