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

목차
관련 정보
수렵도
수렵도
체육
개념
말을 타고 달리면서 활을 쏘는 마상무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말을 타고 달리면서 활을 쏘는 마상무예.
내용

기마민족은 말을 타고 활을 쏘는 기동성을 발휘하여 사냥을 해서 식량을 얻었으며, 전쟁에서도 기사의 위력은 압도적이었다. 우리 선인들은 삼국시대에 벌써 기사를 행하여 수렵을 하였다. 고구려시대 고분인 무용총(舞踊塚) 벽면에 그려져 있는 수렵도(狩獵圖)는 힘차게 말을 달리면서 활시위를 힘껏 당긴 젊은이들이 사슴을 쫓고 호랑이를 추격하고 있다.

평안남도 용강군 대대면 매산리(梅山里) 사신총(四神塚)에도 말을 달리면서 사슴을 뒤쫓는 벽화가 있다. 이들 벽화에 나타난 광경은 그 무덤에 묻힌 사람의 생전 생활모습을 표현한 풍속화라고 볼 수 있다.

고구려에서는 해마다 봄과 가을에 사냥대회를 열어, 말 타고 활 쏘는 재주가 뛰어나서 짐승을 많이 잡은 사람에게 왕이 용사(勇士)라는 칭호를 주었다. 신라에서는 팔월 보름날 무인(武人)들로 하여금 기사로 겨루게 하여 승자에게 임금이 상을 내렸다. 백제에서도 말 타고 달리면서 활을 쏘는 일을 숭상하였다. 고려 때는 기사를 무예(武藝)로서 장려하였다.

무인집권 때 최우(崔瑀)는 날마다 마별초(馬別抄)로 하여금 기사를 수련시켰으며, 귀족계급 무인들은 말을 타고 수렵을 즐겼다. 공민왕의 「천산대렵도(天山大獵圖)」에는 고려시대의 기사 수렵 광경이 생생하게 나타나 있다.

조선시대에도 기사를 무예로서 중시하였다. 기사는 무과 초시 및 복시에 과하는 무예로, 말을 달리면서 활을 쏘아 목표물을 맞히면 1발에 5점을 주었다. 살받이터의 높이는 1자5치이고, 35보(步) 간격으로 세워 놓은 지름 1자의 짚으로 만든 인형 5개를 5발을 쏘아 맞히는 것이다.

몸을 구부리고 말을 달려서 앞을 향하여 목표물을 쏘되 화살을 쏜 뒤에는 몸을 뒤로 젖히고 손을 들어서 활을 뒤집어야 한다. 만일 활을 쏘고 나서 옆으로 달아나거나, 일정한 시간 내에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지 못하면 목표물을 맞혔더라도 무효가 된다는 규칙이 있었다.

기사는 조선시대 후기까지도 무예의 하나로 중요시되고 수렵활동에도 기동성을 발휘했으나, 총의 발달로 그 위력을 잃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한국식생활사연구(韓國食生活史硏究)』(이성우, 향문사, 1978)
『조선과학사(朝鮮科學史)』(홍이섭, 정음사, 1947)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