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조합 만세운동 ( )

목차
근대사
사건
1919년 기생 조합 소속 기생들이 각지에서 전개한 일련의 독립 만세 시위 운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19년 기생 조합 소속 기생들이 각지에서 전개한 일련의 독립 만세 시위 운동.
내용

1919년 서울에서 3·1운동이 전개되고 전국 각지로 파급되자, 진주·수원·해주·통영 등지의 기생들이 독자적으로 만세 시위를 통한 항일 투쟁을 전개하였다.

3월 19일진주에서 기생독립단 일대가 태극기를 선두로 촉석루를 향해 시위 행진하며 독립 만세를 외쳤다. 이때 일본 경찰이 기생 6인을 붙잡아 구금하였는데 한금화(韓錦花)는 손가락을 깨물어 흰 명주 자락에 “기쁘다, 삼천리 강산에 다시 무궁화 피누나.”라는 가사를 혈서로 썼다.

3월 29일에는 수원기생조합 소속의 기생 일동이 검진을 받기 위해 자혜병원(慈惠病院)으로 가던 중 경찰서 앞에 이르러 독립 만세를 불렀다. 이때 김향화(金香花)가 선두에 서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치자 뒤따르던 여러 기생들이 일제히 만세를 따라 불렀다. 이들은 병원에서 돌아오는 길에도 경찰서 앞에서 다시 만세를 부르고 헤어졌다. 이 사건으로 주모자 김향화는 일본 경찰에 붙잡혀 6개월의 옥고를 치렀다.

4월 1일에는 황해도 해주에서 읍내 기생 일동이 손가락을 깨물어 흐르는 피로 그린 태극기를 들고 독립만세 시위 운동을 전개하였는데, 이에 용기를 얻은 민중이 참여함으로써 만세 시위 군중은 3천명이나 되었다.

당시 해주기생 중에는 서화에 능숙한 기생 조합장 문월선(文月仙)을 비롯해 학식 있는 여성들이 많았는데, 이날 문월선·김해중월(金海中月)·이벽도(李碧桃)·김월희(金月姬)·문향희(文香姬)·화용(花容)·금희(錦姬)·채주(彩珠) 등 8인이 구금되어 옥고를 치렀다.

그리고 4월 2일에는 경상남도 통영에서 정홍도(丁紅桃)·이국희(李菊姬)를 비롯한 예기조합(藝妓組合) 기생들이 금비녀·금반지 등을 팔아 광목 4필 반을 구입해 만든 소복 차림을 하고, 수건으로 허리를 둘러 맨 33인이 태극기를 들고 만세시위운동을 전개하다가, 3인이 붙잡혀 6개월 내지 1년의 옥고를 치렀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 2·3·10(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1978)
『독립운동사자료집』 6(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