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탁성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판병부사, 문하시랑평장사 판이부사 등을 역임한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179년(명종 9)
본관
행주(幸州)
주요 관직
문하시랑평장사|판이부사|수태사 문하시중
관련 사건
조위총의 난
목차
정의
고려 후기에, 판병부사, 문하시랑평장사 판이부사 등을 역임한 무신.
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은 행주(幸州). 모습이 단아하고 활쏘기와 말타기를 잘했다. 처음 교위(校尉)가 되었는데, 말달리기와 격구(擊毬)를 즐겨하는 의종에게 뽑혀 견룡(牽龍: 御駕牽引)이 되어 왕의 곁에 있게 되었고, 또 권세가 있는 사람을 잘 섬겼으므로 곧 장군이 되었으며, 명종 초에 거듭 승진하여 참지정사가 되었다.

1174년(명종 4)에 서경유수 조위총(趙位寵)이 정중부(鄭仲夫)·이의방(李義方)을 치려고 군사를 일으켜 절령(岊領: 慈悲嶺) 이북 40여 성이 이에 호응하자, 윤인첨(尹鱗瞻)이 원수가 되고 기탁성은 부원수가 되어 서경을 평정시키고 돌아오매, 벼슬이 판병부사(判兵部事)로 있다가 문하시랑평장사 판이부사(門下侍郞平章事 判吏部事)로 승진하였다.

기탁성은 재물을 탐내어 관직을 차는 등 부정을 행하여 어진 사람들이 그 주변에서 자취를 감추고, 참소하고 아첨하는 자가 다투어 나타났다. 그리하여 가신(家臣)인 고충전(高忠全)·이인령(李仁齡) 등이 모두 간사하고 교활하며 탐학하고 야비하여 악명이 높았다.

마침 광평궁(廣平宮)이 오래 비어 주인이 없었으므로, 왕에게 청하여 거기에 거처하려 하였다. 그 처가 이를 말렸으나 듣지 않고 거기에 거처하기 수개월 만에 죽었다. 죽은 후 조위총의 난을 평정시킨 공으로 추충협모좌리동덕공신 수태사 문하시중(推忠協謀佐理同德功臣 守太師 門下侍中)으로 추증(追贈)되고 공신각에 초상을 그려 안치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집필자
민병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